‘최순실 흔적 찾아라’…문체부, 실체 점검에 ‘전전긍긍’

‘최순실 흔적 찾아라’…문체부, 실체 점검에 ‘전전긍긍’

입력 2016-11-04 10:17
업데이트 2016-11-04 1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혹 사업 검증 특별전담팀 나흘째 가동했으나 ‘안갯속’

문화체육관광부가 최순실 씨와 측근 차은택 씨의 인맥과 흔적을 지우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들의 입김이 작용한 사업과 연루 공무원을 찾기 위한 특별전담팀(TF)까지 발족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와 ‘문화계 황태자’로 꼽히는 이들에게 휘둘려 문화정책과 예산집행이 왜곡됐다는 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다. 그러나 이들이 워낙 은밀하게 거쳐 간 탓에 발자취 찾기에 난항을 겪고 있다.

문체부는 4일까지 TF 요원 수십명을 나흘째 투입했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문체부에 여전히 남아있다는 ‘최순실·차은택 인맥’을 찾는 데도 실패했다.

유성엽 국민의당 의원은 3일 원내정책회의에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부역한 영혼 없는 공무원도 샅샅이 밝혀 문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화예술계에서도 최순실-차은택의 ‘문화 부역자’를 퇴진시키라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런 외부 압박에 문체부는 진퇴양난의 형국이다. 최순실·차은택의 힘을 내세워 호가호위한 인물이 아직 남아있는지에 회의적인 시각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중요 문체부 사업이나 인사가 장관이나 차관 선에서 결정되므로 특정 실무 직원은 물론, 고위 간부조차 실세로 행세할 여지가 거의 없다는 게 중론이다.

이 때문에 “장·차관의 지시에 따라 우리는 열심히 일했을 뿐인데 오물을 뒤집어썼다”라는 볼멘소리마저 터져 나온다.

“우리가 정작 피해자”라는 분위기도 팽배하다.

A 실장은 “의혹 사업을 담당하는 간부가 행정적으로 책임질 부분이 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최순실 씨 등에게 부역했다는 건 지나친 비약으로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최순실·차은택 비선과 닿은 의혹을 받는 C 국장은 “맹세코 이들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체육 부서에서 오랫동안 일한 그는 2014년 3월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연수 중 체육개혁의 적임자로 선발돼 체육국장에 발령 났다.

당시 김종 전 문체부 제2차관과 함께 그 업무를 수행했다는 이유로 부역자라는 비난을 받았다.

김 전 차관은 최순실 씨에게 인사 청탁을 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2017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작가 선정에도 책임질 일이 없다고 항변했다.

예술정책관으로서 당연직 심사위원으로 참여했을 뿐이며 최 씨 등과 무관하다고 말했다.

당시 홍익대 출신의 K씨가 선정되자 미술계에서는 홍익대 교수였던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의 대학원 제자인 차은택 씨의 입김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뒷말이 무성했다.

B 국장은 “20~30년간 근무해온 공무원들이 무엇이 아쉬워 외부에 줄을 대겠냐”며 “굳이 최순실·차은택 인맥이라면 김종덕 전 장관과 김종 전 차관을 꼽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체부는 이런 내부 기류와 무관하게 의심스러운 사업을 모두 검증할 때까지 특별전담팀을 운영하기로 했다. 외부 시선이 워낙 엄중한 현실을 고려한 조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