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균 전격 검거] 측근 여동생 빈 오피스텔에 수도·전기료… “누군가 있다” 급습

[유대균 전격 검거] 측근 여동생 빈 오피스텔에 수도·전기료… “누군가 있다” 급습

입력 2014-07-26 00:00
업데이트 2014-07-26 04: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은신처 파악부터 검거까지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장남 대균(44)씨 검거 작전이 성공한 것은 초동수사 부실로 비난에 직면했던 경찰의 저인망식 수사가 뒤늦게 힘을 발휘한 덕이다. 수뇌부에 대한 문책론까지 불거진 이후인 지난 24일 경찰은 전국에 분포된 대균씨의 은신 용의처 1500여곳을 일제히 수색하는 등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샅샅이 훑었다.

이미지 확대
25일 오후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장남 대균씨가 검거된 경기 용인시 상현동의 한 오피스텔 앞에 경찰이 통제선을 설치하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오후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장남 대균씨가 검거된 경기 용인시 상현동의 한 오피스텔 앞에 경찰이 통제선을 설치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균씨가 은신했던 오피스텔 내부 모습.
대균씨가 은신했던 오피스텔 내부 모습.
경찰에 따르면 인천경찰청에 설치된 유씨 부자 검거를 위한 ‘경찰 총괄 태스크포스(TF)’는 유씨의 사망 사실이 알려진 22일 이후 대균씨의 수행원 등 도피 조력자들과 가족들이 소유한 아파트, 오피스텔 등 부동산 이용 현황을 분석해 왔다. 유씨의 도피 행각과 경로 등을 분석한 결과 구원파 신도보다 개인 수행원들의 도움을 받으며 대도시에 숨어 있을 것으로 추정됐기 때문이다.

그러던 중 대균씨 측근의 여동생인 하모(35)씨가 소유한 경기 용인시 상현동의 한 오피스텔 7층 세대(19.2㎡·5.8평)가 유력한 은신처로 떠올랐다. 하씨는 2007년 휴대전화를 개통하면서 이 오피스텔을 주소로 써냈지만 실제로는 다른 곳에 살고 있었다. 하지만 수도요금과 전기료는 계속 나왔다. 경찰이 하씨를 찾아 실제로 살지 않는 오피스텔에 수도요금 등이 나온다는 사실을 추궁하자 하씨는 “구원파 신도들에게 비밀번호를 알려줬을 뿐 어떻게 된 것인지 모르겠다”고 발뺌했다.

수상하게 여긴 경찰은 주변에 잠복하며 동태를 살피다가 이날 하씨를 임의동행해 오피스텔 문을 열게 했다. 하지만 하씨가 버티자 대균씨가 있는 것으로 보고 검거 작전에 돌입했다. 경찰은 오후 5시쯤부터 오피스텔 문을 두드렸지만 안에서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경찰이 열쇠수리공을 불러 강제로 문을 따려 하자 안에서 문을 잡았다. 대균씨와 수행원 박수경(34·여)씨였다.

경찰은 오후 6시 37분쯤 인근 소방센터에 전화해 “7층 오피스텔 방에 유대균이 있는 것 같고 투신 가능성이 있으니 출동해 달라”고 요청했다. 소방·구조대원 등 20명은 10분 뒤 현장에 도착했고 오피스텔 밖에 에어 매트를 설치한 뒤 사다리차를 작동시켜 미닫이식 창문을 막아 대균씨 등이 뛰어내리지 못하게 막았다. 또 7층 오피스텔 복도에도 소방대원이 올라가 문을 내려쳐 부수는 장비로 문을 열려고 시도했다.

더는 버티기 힘든 상태가 되자 대균씨 일행은 오후 7시쯤 지친 표정으로 문을 열고 나왔다. 대균씨가 살던 오피스텔의 건너편 방에 살던 한 주민은 “앞집 문이 열리거나 배달 음식의 빈 그릇이 놓인 모습을 본 적이 없다”면서 “대균씨가 사는 것을 전혀 몰랐고 알았다면 내가 먼저 신고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피스텔 6층에 사는 한 주민은 “2명이 석달이나 그 좁은 공간에 있었으면 답답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4-07-26 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