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의학 전문가들, 경찰 초동대처 “아쉬워”

법의학 전문가들, 경찰 초동대처 “아쉬워”

입력 2014-07-25 00:00
업데이트 2014-07-25 16: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창륙·박종태 교수 “시신, 유병언 맞아”

25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서울분원에서 열린 유병언 변사체 발견 관련 브리핑에 외부 법의학 전문가들이 참여해 눈길을 모았다.

이들은 순천에서 발견된 변사체가 세월호 실소유주인 유병언 씨가 맞지만 사인은 알 수 없다는 국과수의 검사 결과를 인정했다.

시신을 살펴본 결과 세간의 의혹들은 근거가 없으며 국과수의 감식 결과가 틀림이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시신 발견 당시 경찰의 시신 관리와 감식 등 초동대처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시신의 주인공이 유 씨가 아닐 수 있다는 세간의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가능성이 없다”고 부인했다.

DNA, 치아, 지문 등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과학적 기법을 동원한 결과가 모두 유 씨 본인임을 가리키고 있어 이를 의심할만한 다른 증거가 없다는 것이다.

법의학 전문가인 조선대 윤창륙 교수는 “주치의를 통해 확보한 유 씨의 치과 치료기록과 현장에서 확보한 시신의 치아가 정확히 일치했다”며 “본인이 아닐 수 없는 증거”라고 밝혔다.

시신 부패와 머리털 분리 의혹에 대해서도 그는 “동남아시아 쓰나미 현장에서 비슷한 사례를 무수히 봤다”며 “보름 정도면 충분히 모든 부패가 이뤄지고 머리털도 빠질 수 있다”고 전했다.

함께 시신을 살펴본 대한법의학회장인 박종태 전남대 법의학교수도 “감정서를 면밀히 봤고 시신도 직접 여기 온 교수들과 함께 봤다”며 “유병언 본인이 아니라고 의심할만한 것은 없었다”고 말했다.

법의학 전문가들은 그러나 시신 최초 발견 이후 이에 대한 현장 보존과 감식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토로했다.

박 교수는 “시신이 발견된 현장에는 경찰만 있었고 경찰의 시각으로만 시신을 확인해 본인 확인이나 사인 판명이 어려웠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만약 법의학자나 또 다른 사람들이 현장에 있었다면 다른 의견이 개진될 수도 있었다”고 검시 과정에 문제점을 제기했다.

윤 교수도 “시신은 한눈에 봐도 사인을 알기 어려운 상태였다”며 “발견 초기 대응만 제대로 했다면 사인까지도 밝혀낼 수 있었을 것으로 본다”고 아쉬워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