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60%, 자사고 일반고 전환에 찬성”

“서울시민 60%, 자사고 일반고 전환에 찬성”

입력 2014-07-25 00:00
업데이트 2014-07-25 1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대는 22.9%…서울교육청·한길리서치 여론조사

서울 시민 10명 가운데 6명은 서울시교육청이 추진하는 자율형 사립고의 일반고 전환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교육청은 한길리서치센터에 의뢰해 지난 18∼19일 만 18세 이상 서울시민 1천명을 상대로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60.7%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반대한다’는 응답자는 22.9%로 자사고를 일반고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반대 의견보다 3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무응답 또는 ‘잘 모른다’고 답한 비율은 16.4%였다.

응답자의 연령별 찬성 비율은 30대가 66.9%, 40대가 66.2%, 만 18세 이상 20대가 63.8%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에 찬성하는 이유로는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켜서’라는 의견이 42.4%로 가장 많았다.

’입시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해서’(27.4%), ‘일반 고등학교들의 평판과 이미지가 나빠져서’(12.6%), ‘가까운 학교에 못 가고 통학거리가 멀어져서’(8.7%),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적 분포가 나빠져서’(6.4%) 등이 뒤를 이었다.

자사고를 일반고로 전환하는 데 반대하는 이유로는 ‘(자사고에서) 우수한 학생들이 함께 모여 공부할 수 있어서’라는 의견이 32.2%로 가장 많았다.

이어 ‘다양한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있어서’(32.1%), ‘특색있는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어서’(21.0%), ‘학교의 건학 이념에 따라 잘 운영되고 있어서’(6.3%), ‘대학 진학 성적이 좋아서’(2.9%) 등의 순이었다.

’일반고 전성시대’를 위해 서울교육청이 시행해야 할 가장 시급한 정책으로는 시민의 27.8%가 ‘직업교육, 체험학습 등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꼽았다.

또 ‘입학생 성적 분포가 고르게 학교 배정’(18.4%), ‘열악한 일반고에 우수한 교장·교사 우선 발령’(17.5%), ‘학교 운영비 증액 및 어려운 학교에 더 많은 예산 지원’(11.7%), ‘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대안 교육과정과 교육기관의 신설 및 확충’(11.7%), ‘학급당 학생 수 감축’(5.4%) 등의 의견이 나왔다.

서울교육청은 이번 조사결과를 ‘일반고 전성시대’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