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섭 장관 “세월호 수습·공직사회 개혁에 최선”

정종섭 장관 “세월호 수습·공직사회 개혁에 최선”

입력 2014-07-17 00:00
업데이트 2014-07-17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방분권 확대는 시대 요구”’위국헌신공인본분’ 안중근 정신 거듭 강조

정종섭 신임 안전행정부 장관은 1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세월호 사고 수습과 공직사회 개혁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종섭 안행부 장관은 “다시는 (세월호와 같은) 이러한 가슴 아픈 사고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근본적인 재난안전 대책을 마련하고 철저하게 실천해야 할 것”이라면서 “국회에 제출된 세월호 사고 후속조치 법안들도 적기에 처리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미지 확대
정종섭 안행부 장관 취임사
정종섭 안행부 장관 취임사 정종섭 신임 안전행정부 장관이 17일 오전 정부 서울청사별관 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정 장관은 취임사를 통해 세월호 사고 수습과 공직사회 개혁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정종섭 안행부 장관 취임식
정종섭 안행부 장관 취임식 정종섭 신임 안전행정부 장관이 17일 오전 정부 서울청사별관 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안중근의사기념관 찾은 정종섭 안행부 장관
안중근의사기념관 찾은 정종섭 안행부 장관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중구 소월로 안중근의사기념관을 찾아 안중근 의사의 휘호가 조각된 벽면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정 장관은 이어 공직사회 개혁에 관해 “국가기능을 왜곡하는 이해관계 상충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척결하고, 공직윤리가 법치주의원리에 따라 반듯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취임식에 이어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정 장관은 공직사회 개혁의지를 피력하고, 공직사회 적폐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법치주의 바로세우기를 제시했다.

그는 ‘관피아’ 등 민관유착 논란과 관련, “우리사회의 이해상충 문제가 이번에 드러난 것”이라며 “이 문제를 제대로 정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해상충이란 공정한 결정을 저해할 수 있는 부적절한 유착관계가 형성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로, 퇴직관료가 산하기관에 재취업하는 관행 등이 대표적이다.

정 장관은 ‘부처 간 칸막이 조정’ 문제를 기자들에게 언급하면서 “관료들로서는 어려운 부분이 있겠지만 학자로서 원리에 따라 (부처 간) 중복되는 부분은 과감하게 조정할까 생각 중”이라고 밝히는 등 조직과 인사 부분에서 과감한 개혁을 펼치겠다는 소신을 드러냈다.

시간선택제 공무원을 확대하는 문제와 이들에게 공무원연금을 적용할지 여부 등도 살펴보겠다고 했다.

그는 취임식에서도 정보공개와 정책설계에 국민참여 확대, 행정 칸막이 조정 등으로 ‘국민행복을 실현하는 투명하고 효율적인 정부’를 만들자고 직원들을 독려했다.

아울러 정 장관은 “우리는 지금 지방분권의 확대라는 시대적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중앙정부가 가지고 있는 권한을 지방으로 과감하게 이양하는 한편 감사와 평가 기능의 확충을 통해 권한과 책임의 균형을 맞추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정 장관은 “국가개혁을 완수하고 국민이 행복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위국헌신공인본분(爲國獻身公人本分)’이라는 정신하에 저와 여러분들이 뼈를 깎는 개혁 의지를 다져야 할 때”라는 말로 취임사를 시작했다.

’위국헌신공인본분’은 정 장관이 평소 존경하는 인물로 꼽은 안중근 의사의 유묵(遺墨) 글귀로 ‘위국헌신군인본분(爲國獻身軍人本分)’의 ‘군인’을 ‘공인’으로 바꾼 것이다. ‘나라를 위해 헌신하는 것이 공인의 본분’이라는 뜻이다. 안 의사는 1910년 3월 26일 순국 직전 일본헌병에게 이 글귀를 써줬다.

이날 취임식에 앞서 이른 아침 정 장관은 남산 안중근 의사 기념관에 들러 헌화하고 참배했으며, ‘위국헌신공인본분’을 한자로 방명록에 썼다. 지난 16일 현충원 참배에서도 같은 글귀를 남겼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