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10명 중 6명은 전·월세 주택”<서울硏>

“서울시민 10명 중 6명은 전·월세 주택”<서울硏>

입력 2014-06-26 00:00
업데이트 2014-06-26 10: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승용차 줄고 대중교통 이용 늘어 공공적자 증가

서울시민의 59%가 전·월세 주택에 살고, 특히 월세비율이 2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은 26일 ‘통계로 본 서울의 10대 트렌드’ 세미나에서 서울시민의 전월세 주택 비율은 2006년 48%에서 2012년 59%로 증가했으며, 특히 월세비율은 같은 기간 16%에서 26%로 급증했다고 밝혔다.

또 청년가구, 1인 가구, 저소득층 가구의 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은 각각 28%, 31%, 39%로 서울시 평균인 25.5%보다 높아 불안전한 사회구조에 대응할 수 있는 주거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서울 인구는 2000년 985만 명에서 963만 명으로 22만 명 감소했고, 같은 기간 가구 수는 308만 가구에서 350만 가구로 42만 가구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학령인구(6∼21세)는 183만 명에서 133만 명으로 50만 명 감소했고, 노인가구는 44만 가구에서 71만 가구로 27만 가구 증가해 총 부양비 증가에 대비한 청소년·실버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했다.

교통 분야에서는 대중교통 분담률이 1996년 59.5%에서 2010년 64.3%로 증가했으며, 특히 지하철 분담률은 29.4%에서 36.2%로 급증했다.

시내 승용차 통행은 같은 기간 465만대에서 449만대로 16만대 줄었고, 도보와 자전거 통행은 연평균 2.7%씩 늘어 교통수단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대중교통 이용이 늘어난 만큼 공공 적자는 가중되고 있다.

승차인원 1명당 지하철의 운임손실은 1992년 141원에서 2012년 314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노년층을 위주로 한 무임수송 인원 비율도 1997년 4.6%에서 2012년 13.4%로 늘었다.

또 서울시는 2004년부터 2012년까지 버스 재정지원액으로 모두 1조 8천667억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지속 가능한 대중교통정책을 위해서는 요금현실화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지만, 요금 인상에 대한 여론은 좋지 않은 상황이다.

또 매일 125만 명이 인천·경기에서 서울로, 62만 명이 서울에서 경기·인천으로 통근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관리 필요성이 제기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