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취업자 20% 첫 일자리는 ‘1년 이하 계약직’

청년취업자 20% 첫 일자리는 ‘1년 이하 계약직’

입력 2014-05-30 00:00
업데이트 2014-05-30 15: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직장 근속기간 18.4개월…10년 새 2.4개월 줄어

청년 취업자 10명 가운데 2명은 1년 이하 계약직으로 첫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고용정보원 김두순 전임연구원이 통계청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청년층 첫 일자리 진입 행태’ 분석 자료를 보면 학교 졸업 후 얻은 첫 일자리의 계약 기간이 ‘1년 이하’인 비중이 2006년 8.7%에서 2013년에는 21.2%로 증가했다.

’1년 이하’ 계약 비중은 2009년 12.5%에서 2010년 16.7%로 높아졌다. 2011년에는 20.3%를 기록, 처음 20%를 넘어섰다.

김 연구원은 “2009년에서 2011년 사이에 1년 이하 계약 비중이 크게 늘었는데 금융위기 등에 대응하면서 기업의 고용 관행이 바뀌었기 때문”이라며 “청년 취업의 어려움을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고용 상태가 안정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계약기간 정하지 않음’ 비중은 2006년 66.9%에서 2013년 61.6%로 감소했다. ‘1년 초과’ 비중도 이 기간 6.8%에서 3.1%로 줄었다.

첫 일자리의 평균 근속 기간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청년층 첫 일자리의 평균 근속기간은 2004년 20.8개월에서 2013년에는 18.4개월로 2.4개월 줄었다.

고졸 이하 학력자의 첫 일자리 평균 근속 기간은 이 기간에 22.8개월에서 17.3개월로 전체 평균보다 더 줄었다. 대졸 이상 학력자는 18.7개월로 변동이 없었다.

김 연구원은 “고용계약 관행이 변화하면서 단기계약 비중이 높아지고 첫 일자리의 평균 고용유지 기간도 감소했다”며 “일시적 일자리 경험이 괜찮은 일자리로 나아가는 디딤돌이 되게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