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광주서… 5·18 민주화운동 34돌 기념식 두 모습] 잊지말자… 세월호 슬픔 나누는 5·18

[서울서…광주서… 5·18 민주화운동 34돌 기념식 두 모습] 잊지말자… 세월호 슬픔 나누는 5·18

입력 2014-05-19 00:00
업데이트 2014-05-19 0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년째 기념식 있던 서울광장 세월호 분향소 피해 넋 기려

세월호 참사 이후 가장 많은 3만여명의 시민이 참여한 촛불집회가 주말 서울 도심과 전국 곳곳에서 열렸다. 이틀 동안 시위에 나선 인원 중 210여명이 거리 행진 중 차도를 점거하거나 당초 신고 구간에서 벗어나 청와대로 향하려 했다는 이유로 경찰에 연행됐다.

이미지 확대
세월호 추모촛불 가득한 청계광장
세월호 추모촛불 가득한 청계광장 전국적으로 대규모 촛불집회가 열린 지난 17일 3만여명의 시민이 서울 중구 청계천 주변을 가득 메운 채 촛불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오전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34주년 서울 기념식’ 역시 세월호 희생자에 대한 추모와 묵념으로 시작됐다. 기념사업회는 9년 동안 서울광장에서 행사를 치렀지만, 올해 서울광장에 세월호 참사 합동분향소가 설치되면서 기념식 장소를 이례적으로 바꾸게 됐다.

박석무 5·18민주항쟁 서울행사위원장은 “세월호 참사를 통해 이 나라의 총체적인 비리와 부정이 드러났다”면서 “진상을 규명하고 희생자·유족에 대한 철저한 예우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행사 참가자인 박인범(42·교사)씨는 “학생들이 ‘앞으로는 어른들 말을 듣지 않겠다’고 말한다”면서 “우리 사회가 무너지는 출발점이 될까 봐 걱정된다”고 밝혔다. 강보경(23·여)씨는 “성장 위주로만 치닫다 보니 사람을 지키는 ‘사람 안보’에 소홀했던 것 같다”며 “5·18과 세월호 참사 모두 절대 반복돼서는 안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기념식 단상 뒤쪽에 마련된 5·18 민주화운동 사진전에는 ‘다음 생애 너희의 푸르름을 펼칠 수 있길’, ‘어른들 잘못으로 죽음을 맞은 어린 생명들, 부정부패 없는 나라에서 편안한 영혼이 되길 기도한다’는 등의 메모지들이 빼곡히 걸렸다.

이날 밀양 송전탑 주민들과 민주노총 등은 청계광장에서 ‘만민공동회’를 열었다. 참석자 400명(주최 측 추산, 경찰 추산 250명)은 ‘박근혜 희망 없다, 퇴진이 정답이다’ 등의 구호를 외쳤다.

오후 들어 2시쯤 마포구 홍대입구역에서 열린 ‘가만히 있으라’ 침묵 행진에는 200여명이 시민이 참여했다. 이들은 국화를 들고 흰색 마스크를 쓴 채 서울시청까지 행진했다. 집회에 참여한 안산 단원고 졸업생 최승원(20)씨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는 정부가 역할을 다하지 못해 비판하는 걸 두고 정치적 선동이라는 얘기가 나온다”면서 “이런 걸 정치적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정치적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일부는 침묵 행진이 끝난 뒤에도 광화문 일대에 모여 시위를 이어 가다 경찰과 3시간가량 대치했다. 경찰은 4차례 해산 명령 끝에 불응한 95명을 오후 9시쯤부터 집시법 위반 혐의로 연행했다. ‘가만히 있으라’ 시위를 제안, 4차례 주도한 대학생 용혜인(25·여)씨도 연행됐다.

전날 열린 세월호 희생자 추모·진상 규명 촉구 집회에는 지난달 16일 이후 최대 규모인 3만여명(경찰 추산 1만 5000명)이 모였고, 이 중 청와대로 향하던 115명이 교통방해죄 등의 혐의로 연행됐다.

보수단체들의 맞불 집회도 열렸다. 고엽제전우회, 육·해·공군·해병대(예)대령 연합회 등의 회원 5000명(경찰 추산 2000명)은 청계광장 길 건너에서 ‘세월호 참사 애도 분위기 악용세력 규탄 국민대회’를 개최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4-05-19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