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참사> “24시간 수색 가능해졌다”

<세월호참사> “24시간 수색 가능해졌다”

입력 2014-04-21 00:00
업데이트 2014-04-21 1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이드라인 증설·통로 확보·조류 약화 등

민·관·군 합동구조팀이 물 흐름이 멈추는 정조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24시간 수색에 돌입했다.

구조팀은 하루 수십차례 선체 진입을 시도하고 있으며 날이 갈수록 그 횟수는 늘어가고 있다.

사고 직후 한동안 강한 조류 탓에 수중 수색에 난항을 겪었지만 상황이 바뀌었다.

해저로 내려간 잠수사들을 인도하는 ‘가이드라인’이 선수와 선미에 2개씩, 중앙에 1개가 설치됐다.

수면 밖 스티로폼 부이에서 선체까지 연결된 이 줄이 늘어나면서 잠수사의 동시 투입이 가능해졌다.

며칠간 구조·수색작업으로 실종자가 가장 많을 것으로 보인 3~4층 진입 통로를 다수 확보한 것도 잠수사의 추가 진입을 용이하게 했다.

구조팀은 객실, 휴게실·오락실 등 편의시설이 몰린 3~4층에 집중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특히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으로 유명한 울돌목 다음으로 조류가 센 맹골수도가 ‘소조기’를 맞은 것도 큰 보탬이 됐다.

사고 이틀 전인 14일은 바닷물이 가장 많이 들었다가 빠지는 날(음력 15·30일)인 사리로, 물의 양이 많아 유속이 가장 빨랐다.

사리를 기점으로 물의 흐름이 점차 느려져 조금(음력 8·23일) 때는 반대로 조류의 속도가 최저가 된다.

오는 22일인 조금 때는 유속이 사리 때보다 40% 정도 느려지며 조금 전후인 20~26일은 소조기에 해당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