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기념일 제정 ‘백년하청’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제정 ‘백년하청’

입력 2014-03-16 00:00
업데이트 2014-03-16 12: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1년 이후 3년째 논의 중단 상태 이어져동학재단, 추진일정 잡지 못해 장기화 예상”동학 특별법 제정 10주년 맞아 서둘러야”

동학농민혁명(1894년)을 기리는 국가기념일의 제정이 기약 없이 늦어지고 있다.

기념일 제정을 총괄해야 할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하 동학재단)도 손을 놓다시피 한 상태여서 당분간 결과물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13일 동학재단 등에 따르면 2011년 기념일 제정 추진위원회가 해체된 이후 현재까지 관련 논의가 전면 중단된 상태다.

당시 추진위는 공청회 등을 통해 날짜를 정하고 정부에 기념일 제정을 요청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전국 20여개의 동학단체와 지역별로 선호하는 날이 각기 달라 첨예한 입장 차만 확인하는 데 그쳤다.

동학재단이 2012년에 여론조사를 통해 기념일을 정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이 역시 흐지부지됐다.

기념일 제정이 장기화하는 것은 지역과 동학단체들의 견해 차이가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정읍은 고부봉기일(양력 2월15일)이나 황토현전승일(5월10일)을 선호하고 있지만, 고창은 무장기포일(4월25일)로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동학의 고장’이라는 이미지를 위해 자신의 지역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을 앞세우는 것으로, 이해관계가 첨예한 만큼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동학단체와 학계에서는 여기에 ‘동학 특별법’ 제정일인 3월5일, 전주성 점령일인 5월31일, 우금치 전투일인 12월5일 등을 추가로 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읍시가 ‘지역 간 갈등을 유발하지 않도록 중립적인 특별법 제정일로 하자’고 태도 변화를 보였지만 논의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동학재단이 앞으로의 추진 일정마저 정하지 못하고 있어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시간이 걸릴지 알 수 없다.

동학재단은 오는 10월로 예정된 동학농민혁명 120주년 기념행사를 마무리한 후에야 기념일 제정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자칫 기념일을 둘러싼 논쟁이 재연되면 행사를 망칠 수 있으며 입장 차를 좁히기 위해서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동학 특별법이 만들어진 지 올해로 10주년을 맞은 만큼 더는 미뤄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들이 거세지고 있다.

기념일을 제정하지 못하면서 정부가 주관해야 할 동학 관련 행사 등이 여전히 지역 차원의 행사에 머물고 있고 동학혁명을 전국적으로 알리는 데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동학재단이 각 지역과 단체를 상대로 사전에 조율작업을 거쳐 합리적인 안을 마련한다면 접점을 찾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국동학농민혁명유족회 이기곤 부회장은 “특별법까지 만들어놓고도 소소한 이해관계 때문에 기념일을 제정하지 못하는 것은 유족들 처지에서 보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며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명예를 회복하고 혁명의 정신을 기리려면 사심을 버리고 서둘러 국가 기념일을 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