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대학 캠퍼스 건물 신축 쉬워진다

서울시내 대학 캠퍼스 건물 신축 쉬워진다

입력 2014-03-16 00:00
업데이트 2014-03-16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허가 기간 단축·중심부 높이 제한 완화

앞으로 서울 56개 대학 캠퍼스에 건물을 새로 지을 때 인·허가 기간이 대폭 줄고 대학의 재량권도 확대된다.

서울시는 이러한 내용의 ‘대학 캠퍼스 세부시설 조성계획 수립 기준 개선(안)’을 시행한다고 16일 밝혔다.

개선안을 보면 그동안 건물 신축 때 건물별로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이하 시 도계위) 심의를 거치도록 해 인·허가에 6개월 이상 걸렸지만, 앞으로는 학교별로 일괄 심의한다.

구역별 시설 계획을 포함한 대학 장기발전계획을 시 도계위에서 전체적으로 심의하고 그 계획에 포함된 신축 건물에 대해서는 별도 심의 없이 바로 허가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캠퍼스 공간을 ▲일반관리구역(연구시설) ▲상징경관구역 ▲외부활동구역(박물관과 운동관 등) ▲녹지보존구역으로 나눠 일정 범위에서 용적률과 높이 계획을 대학이 자율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한다.

서울시는 또 주거지와 구릉지 주변은 신축 건물 높이를 낮게 하고 중심부는 다소 높아도 허가할 방침이다. 저층 주거지 주변엔 녹지도 조성하고, 대로변은 보행자의 편의를 고려하게 한다.

시는 교육과 연구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대학이 다양한 시설을 주민에게 개방하고, 봉사프로젝트와 멘토링 프로그램도 운영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이제원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새 가이드라인에 따라 신축 건물이 주변과 조화를 이루고 대학 경쟁력도 높아져 지역 공동체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