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 고위공직자 68% 재산 불어

국립대 고위공직자 68% 재산 불어

입력 2013-04-10 00:00
수정 2013-04-10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23명 1억~5억 크게 늘어

국립대학교의 총장과 부총장 등으로 재직하는 고위공직자 10명 가운데 7명은 지난해 기준 1년 전보다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대학교육연구소는 관보에 실린 국립대 총장, 부총장, 국립대학병원장 등 고위 공직자의 지난해 재산변동 신고 내용을 확인한 결과 재산 공개대상인 66명 가운데 45명(68.2%)의 재산이 1년 전에 비해 증가했다고 9일 밝혔다. 재산 증가폭이 1억∼5억원으로 크게 늘어난 공직자가 23명(34.8%)으로 가장 많았고 5000만∼1억원 12명(18.2%), 5000만원 이하 9명(13.6%) 등이었다.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공직자는 장성후 전북대병원장으로 지난해 말 기준 1년 전보다 13억 190만원이 늘었다. 권순기 경상대 총장(5억 9004만원), 김영섭 부경대 총장(5억 5074만원), 오연천 서울대 총장(5억 4276만원) 등도 5억원 이상 재산이 증가했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공직자 역시 장 병원장으로 78억 8840만원을 신고해 2년 연속 가장 많았다. 이어 오연천 총장(42억 482만원), 허향진 제주대 총장(33억 5621만원), 우형식 금오공대 총장(32억 5115만원), 김명진 서울대 치과병원장(25억 2166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원병관 강원도립대 총장은 마이너스 1억 3994만원으로 가장 적은 재산을 신고했다.

같은 기간 동안 재산이 줄어든 공직자 21명(31.8%) 가운데는 5000만원 미만이 10명(15.2%)으로 가장 많았고 5000만∼1억원이 줄어든 공직자가 8명(12.1%), 1억원 이상이 3명(4.5%)이었다. 이번 재산 분석에는 국립대 총장 등 공직자만 포함되고 사립대 총장 등은 제외됐다. 한국대학교육연구소 관계자는 “국립대는 고위공직자 범주에 포함돼 재산을 공개하고 있지만 고등교육의 85%를 담당하는 사립대는 재산공개 의무에서 제외되고 있다”면서 “사립대 이사장과 총장의 재산공개 입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04-10 1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