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입력 2013-03-01 00:00
업데이트 2013-03-01 0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대 잇단 부친살해 이어 20대 아들 또 칼부림

존속범죄로 가정이 흔들리고 있다. 지난 21일 광주시 광산구에서 고교생 아들이 부모 부부싸움에 불만을 품고 경찰관 아버지를 흉기로 살해해 충격을 준데 이어 28일에는 여자친구를 데려왔다고 꾸짖는 아버지(48)를 스무살 아들이 흉기를 휘둘러 상처를 입혔다. 지난 12일에는 설 명절을 맞아 경북 성주군 초전면 고향집을 찾은 장모(36)씨가 어머니(59)의 잔소리에 반발해 목을 졸라 살해하는 일도 있었다.

부모와 조부모 등 직계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존속범죄가 크게 늘고 있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존속살인은 2008년 45건에서 2009년 58건, 2010년 66건, 2011년 68건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존속살해가 전체 살인사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 정도지만 미국이나 프랑스의 2%대에 비하면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되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존속범죄의 범행 동기는 정신분열증 병력, 보험금·유산 등 경제적 이유, 우발적 범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빠른 핵가족화와 맞벌이 등 가족간의 대화가 줄어들면서 갈등이 방치된 점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창배 울산대 경찰학과 교수는 “이런 현상은 ‘가족붕괴’가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이 교수는 “부모와 자녀의 위계질서로 이뤄진 전통의 가족 관계가 무너지면서 가족 내에서도 개인주의가 팽배해졌을 뿐 아니라 경제적(분가) 능력이 없는 20~30대의 자녀가 노부모와 함께 생활하면서 금전이나 취업 문제로 갈등을 빚는 사례가 많아졌다”면서 “가족과 사회로부터 받는 억압과 스트레스를 가장 가까이 있는 자식이나 부모에게 풀면서 가정폭력이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존속살인의 90% 이상은 아들이 저절렀으며 범죄자 연령대는 20~30대가 60%에 이른다는 분석도 있다.

인성교육 등 우리 사회에서 가정이 담당하는 기능이 약화된 것도 이런 패륜범죄가 늘어나는 이유다. 이 교수는 “존속범죄가 가족 간의 갈등에서만이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친 사회적 갈등에서 비롯되는 만큼 가족 기능의 회복과 사회적 약자가 배려받을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한다”며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과열경쟁 등이 가져오는 압박감을 해소하는 ‘가족 및 사회적 소통’이 절실하다”고 조언했다.

안준호 울산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개인이 화를 참은 인내가 줄어들면서 가족에게 상해를 가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면서 “이는 사회 전반의 스트레스가 개인의 스트레스로 이어지면서 빚어지고 있는 만큼 가족과 동료, 사회 구성원 간의 유대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3-03-01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