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어쩌나”…청주공항 민영화 무산에 ‘패닉’

”우린 어쩌나”…청주공항 민영화 무산에 ‘패닉’

입력 2013-01-17 00:00
업데이트 2013-01-17 14: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수 나섰던 청주공항관리 종사자 100명 실직 위기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이 졸지에 실직자가 될 위기에 놓였으니 어쩌란 말입니까?”

17일 오전 10시 청주국제공항 내 공항공사 건물 3층. 이곳에 입주해 있는 청주공항관리㈜의 사무실 분위기는 침울하다 못해 을씨년스럽기까지 했다.

청주공항 민영화에 따라 운영권을 매입하기로 계약했으나 잔금을 제때 입금하지 못해 한국공항공사로부터 계약파기 통보를 받은 지 하루만이다.

105분 차이로 청주공항 매각계약이 파기되면서 졸지에 실직자 신세가 될 처지에 놓이게 된 청주공항관리 직원들은 말 그대로 ‘공황 상태’였다.

당장 두 달 이상의 교육을 마치고 2~3일 전부터 현장에 투입된 경비인력 50명은 출근도 하지 못한 채 각자의 집에서 대기 중이다. 20명의 예비인력 역시 똑같은 처지다.

전날 오후 6시 공항공사 측이 계약 해지 통보가 오면서 경비인력에는 당장 숙소에서 나가라는 요구까지 떨어졌다.

경비팀의 한 관계자는 “20대 사회 초년생부터 50대 가장까지 70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한순간에 실직자가 됐는데 본인들 마음이야 오죽하겠느냐”고 한숨을 내쉬었다.

사무실을 지키는 30명의 관리인력 또한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한 여직원은 “멀쩡한 직장을 두고 민영화 1호 공항을 제대로 만들겠다는 자부심 하나로 직장을 바꾼 사람들이 대부분인데 갑자기 이런 상황이 벌어졌으니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푸념했다.

또 다른 직원은 “이달 31일 이후 인수인계를 위해 모든 업무를 추진해온 한국공항공사가 단 105분 차이로 계약할 수 없다는 건 결국 본인들의 민영화에 대한 반대 정서를 반영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운영팀의 한 관계자는 “일단 회사에서는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직원들의 동요가 없도록 2~3달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라며 “아울러 계약 해지에 대한 법적 소송은 물론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청주공항 민영화는 국가정책인 만큼 이를 주도해온 국토해양부의 조속한 입장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라며 기대의 끈을 애써 놓지 않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