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中 내년 대구·광주 첫 개설

방송통신中 내년 대구·광주 첫 개설

입력 2012-10-25 00:00
업데이트 2012-10-25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업중단 학생대상 무료운영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어려운 가정형편 등으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들을 위한 방송통신중학교가 생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 25억원의 예산을 편성, 대구와 광주에 전국 최초의 방송통신중학교를 설립한다고 24일 밝혔다. 1972년 방송통신대, 1974년 방송통신고 설립 이후 38년 만이다. 교과부 측은 “의무교육 단계인 중학교 학력 취득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15~70세 중학교 미학력자 259만 9000여명 가운데 1만 2500명은 당장 입학을 원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중학교 졸업 전 학업을 중단한 경우 중졸 검정고시를 보거나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을 이용해야 했다. 지난 한 해 초등학생 1만 771명, 중학생 1만 5339명이 학업을 중단했다. 개정된 방송통신중·고 설치기준령은 오는 30일 국무회의를 거쳐 11월 초 공포된다.

방통중은 내년 3월 대구고와 광주 북성중에 1학년 2~3학급 규모의 부설 형태로 설립된다. 중학교 교육과정을 그대로 적용하되 수업시수는 80%로 줄인다. 사이버 강의로 수업을 듣고 1년에 20일은 학교에 나와 입학식 등 학사일정을 수행하게 된다. 수업료는 무료지만 교육감 재량에 따라 소정의 학교 운영 경비가 부과될 수 있다. 교과부는 2014년 대구지역 폐교를 활용해 대구고 부설 방송고와 방송중을 분교형태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장기적으로는 서울, 경기 등 수요가 많은 시·도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2-10-25 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