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족 해마다 증가 ‘사회문제’ 대책 절실

한부모가족 해마다 증가 ‘사회문제’ 대책 절실

입력 2012-10-18 00:00
업데이트 2012-10-18 11: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혼, 별거, 사별 등으로 인한 한부모가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가족해체 현상의 일환인 한부모가족은 자녀교육, 생활고, 취업문제 등 사회적인 문제로 연결될 수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광주시가 발간한 2012 시정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한부모가족지원법 대상은 총 4천803가구에 1만 2천450명이다.

한부모가족지원법 대상은 지난 2009년 3천902가구·1만 55명, 2010년 4천436가구·1만 1천509명 등과 비교하면 매년 8∼12%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한부모가족지원법 대상을 가족 형태별로 분류하면 모자가족이 3천460가구(8천986명), 부자가족 1천208가구(3천181명), 미혼모가족 92가구(178명), 미혼부가족 29가구(63명), 조손가족 14가구(42명) 등이다.

한부모가족 형태별로 모두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자녀가 아빠와 생활하는 부자가족(2010년 1천175가구·3천80명, 2009년 994가구·2천581명)과 미혼부가족(2010년 23가구·49명, 2009년 20가구·45명)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한부모가정의 가구주 취업률이 평균 취업률보다 낮아 빈곤층으로 추락할 우려가 있다”며 “한부모가정 가구주의 경제활동 장려, 취업알선, 의료급여 등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KDI는 “한부모가정의 재정적인 안정을 위해선 이혼 후 비(非)양육자의 양육비지급의무를 강제화할 필요가 있다”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여러 국가는 선지급 형태로 양육비 지급의무제를 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지역 초등학교 모 교사는 “원룸과 주택이 밀집된 소득이 낮은 지역에 있는 초등학교의 경우 한 반에 많게는 한부모가정 자녀가 20∼30%를 차지한다”며 “특히 아빠와 생활하는 부자가족 자녀 교육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시의 한 관계자는 18일 “가치관의 변화와 경기침체 등 사회구조적인 변화로 한부모가족이 늘고 있다”며 “한부모가족에 대한 지원금을 지급하고 생활의욕을 북돋기 위한 문화체험 기회 등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