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 눈멀어 ‘막장’ 눈감는 인터넷 방송업체

수익 눈멀어 ‘막장’ 눈감는 인터넷 방송업체

입력 2012-10-16 00:00
업데이트 2012-10-16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터넷 개인방송 ‘유료 아이템’ 음란·엽기쇼에 ‘기름’

일부 인터넷 개인방송이 음란·엽기물을 방송하는 등 막장으로 치닫고 있지만 당국은 뾰족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청자들이 방송 중에 ‘별풍선’이나 ‘솜사탕’ 등 현금으로 아이템을 구입해 진행자에게 직접 선물하는 현재의 수익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지적한다.

인터넷 개인방송 진행자들은 사실상 현금이나 아이템을 하나라도 더 받기 위해 무리한 방송을 이어간다. “별풍선 1000개가 모이면 야한 옷으로 갈아 입겠다.”는 식의 방송을 하거나 음식을 대량 섭취하는 등 음란·엽기 방송을 자처하고 있다. 일부 진행자의 무분별한 방송 행태도 문제지만 들여다보면 개인방송 플랫폼 업체의 탐욕이 이런 구조를 부추기고 있다.

가장 규모가 큰 인터넷 개인방송 A업체에서는 시청자들이 100원에 아이템을 구입하면 40%를 자체 수익금으로 가져가고 있다. 환전 수수료라는 명목에서다. 진행자는 별풍선 한 개당 60원만 환전할 수 있다. 한 네티즌은 “아이템 거래가 많아질수록 업체에 이득이 되다 보니 유료 아이템 제도를 악용하는 음란쇼 진행자를 눈감아 주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인터넷 개인방송의 유료 아이템 구매는 도입 첫해인 2007년부터 줄곧 문제가 돼 왔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관계자는 “사실상 별풍선 등이 음란·엽기 방송을 부추기는 측면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면서도 “유료 아이템 구조는 기업의 수익 구조와 직결돼 있어 우리가 함부로 나설 수 없다.”고 설명했다.

결국 심의기관이나 업체가 유료 아이템의 어두운 단면과 문제를 알고 있으면서도 해결책 모색을 외면해온 셈이다. 자체 모니터링을 강화해도 음란물 등의 단속 효과가 미미할 수밖에 없는 결정적 이유다. 한 인터넷 개인방송 업체 관계자도 “좋은 의도로 도입한 시스템이 왜 이렇게 문제를 일으키는지 모르겠다.”며 문제가 있음을 시인했다.

한석현 YMCA시민운동 본부 간사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인터넷 방송의 부흥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일부 방송처럼 음란·엽기 퍼포먼스로 흐르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면서 “인터넷 개인방송이 자리 잡은 지 오래지만 수익 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하는 공론의 장이 없었다. 이를 어떻게 선순환 구조로 만들 것인가에 대해 업체, 정부, 시민 모두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명희진기자 mhj46@seoul.co.kr

2012-10-16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