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괄이사 558억 횡령 교수공제회 결국 파산

총괄이사 558억 횡령 교수공제회 결국 파산

입력 2012-10-10 00:00
업데이트 2012-10-10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원의 수백억원 횡령 사태로 물의를 빚고 있는 전국교수공제회가 결국 파산했다. 파산에 따라 5000여명의 교수 회원들이 얼마나 재산을 되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서울중앙지법 파산12부(부장 구회근)는 9일 전국교수공제회에 대해 지급불능 및 부채 초과를 이유로 파산을 선고했다. 향후 공제회의 소유 재산에 관한 관리·처분권한은 법원이 선임한 파산관재인에게 속하게 된다. 파산관재인은 법원의 감독 아래 우선순위에 따라 채권자들에게 배당할 예정이다. 법원은 채권신고기간을 다음 달 23일까지로, 채권자 집회기일을 오는 12월 20일 오후 2시로 결정했다. 한편 이와 별도로 채권자 중 일부가 지난달 24일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 같은 법원 파산4부에서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만일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파산절차는 중지되고 관리인이 회생 계획에 따라 자산을 배당하게 된다.

전국교수공제회는 전국 대학의 전임강사 이상 교수 5400여명을 회원으로 대학교수의 복리증진과 퇴직 후 생활안정 보장 등을 목적으로 1998년 총괄이사 이씨가 설립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최지숙기자 truth173@seoul.co.kr

2012-10-10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