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독서환경도 지역별 양극화 심각

어린이 독서환경도 지역별 양극화 심각

입력 2012-10-04 00:00
업데이트 2012-10-04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시는 집근처 5분 거리에 도서관… 읍·면은 걸어서 30분 이상

“아이 혼자 가기엔 너무 멀고 길도 험해서 보낼 엄두를 못 내요.”

전남 화순에 사는 주부 김민서(34)씨는 열살 난 딸과 보름에 한번쯤 도서관을 찾는다. 걸어서 30분 이상 걸리는 곳에 도서관이 있는 데다 가는 길도 외지고 비포장 도로라서 달랑 딸아이만 보낼 수가 없다. 김씨는 “한번 가면 3~4권씩 책을 빌려 오지만 이틀이면 다 읽어버려 아이가 많이 아쉬워한다.”고 말했다.

서울 서초구에 사는 주부 이윤정(41)씨는 매일 방과 후면 딸(10)의 손을 잡고 도서관에 가는 것이 일과다. 집 근처 어린이 도서관은 걸어서 5분 거리. 이씨는 “지리적으로 가깝다 보니 아이가 유치원에 다닐 때부터 도서관을 자주 찾게 됐다.”면서 “자연스레 아이가 다양한 읽을거리를 접할 수 있어 만족스럽다.”고 했다. 어린이 독서 환경이 도시와 농촌, 대도시와 중소도시 사이에 심한 양극화를 보이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출판연구소에 의뢰해 실시한 어린이 독서 및 도서관 이용 현황 조사에 따르면 광주·호남의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서울의 3분의1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 조사는 전국 15개 시·도 5~10세 자녀를 둔 보호자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집에서 10분 거리 이내에 공공도서관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서울 거주자가 66.1%로 가장 높았고 인천·경기·강원(각 59.4%), 부산·경남(각 47.3%), 대구·경북 (각 42.4%), 대전·충청(각 29.0%), 광주·호남(각 21.8%) 순이었다. 지역 규모별로 특별시·광역시 등 대도시는 응답자의 53.8%, 중소도시는 50.60%, 농·어촌 읍·면 지역은 32.0%가 “10분 거리에 도서관이 있다.”고 답했다.

도서관 이용률(1개월에 1회 이상 공공도서관 이용)은 도서관이 거주지와 가깝다고 느낄수록 높았다. 서울과 인천·경기·강원은 각각 70.7%와 71.4%로 70% 선을 웃돌았다. 하지만 그 외 지역 어린이들의 이용률은 지역별로 36~55%에 그쳤다.

도서관 이용률은 독서량과 비례했다. 한 달 평균 어린이 독서량은 대도시가 26.5권으로 가장 많았고 중소도시 20.2권, 읍·면 19.4권 순이었다. 대도시 어린이들이 읍·면 단위 어린이들보다 한달에 7권가량, 연간으로는 85권가량 책을 더 많이 본다는 얘기다. 이용훈 도서관문화비평가는 “도서관 접근성뿐만 아니라 아동도서 구입비 예산도 지역별로 편차가 상당할 것”이라면서 “독서환경의 질적 균형을 맞추기 위해 지역별 맞춤 도서관 증설과 어린이 신간도서 확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명희진기자 mhj46@seoul.co.kr

2012-10-04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