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10곳 중 1곳 비 샌다

초·중·고 10곳 중 1곳 비 샌다

입력 2012-09-25 00:00
업데이트 2012-09-25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 1181개교 누수 심각… 경기 282곳 최다

1980년대 이전에나 있었을 법한 ‘비 새는 학교’가 전국적으로 1000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태년(민주통합당)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받은 ‘각급 학교 누수실태’ 자료에 따르면 올 8월 기준으로 비가 새는 초·중·고교 및 특수학교가 1181개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초·중·고·특수학교 1만 1599개교 중 10곳 중 1곳은 비가 새는 셈이다.

초등학교 616개교, 중학교 324개교, 고등학교 227개교, 기타 14곳이었으며 교실 단위로는 6312실로 학교당 평균 5개 수준이었다. 경기가 282개교로 가장 많았고 전남 241개교, 서울 172개교, 경북 81개교 순이었다.

일부 학교는 수업이 제대로 되지 않을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다. 2001년 리모델링한 서울 동대문구 D초등학교는 교실, 강당 등 모두 34곳에서 물이 새고 있다. 학교 관계자는 “공사 예산으로 3억 1000만원을 신청했지만 아직까지 보수공사 예정이 없다.”면서 “비만 오면 아이들이 양동이를 대고 수업을 해야 할 정도로 여건이 열악하다.”고 말했다. 중랑구 S초등학교는 60개 교실에서, 동대문구 S중학교는 20개 교실에서 비가 새지만 보수 예산을 받지 못하고 있다.

교과부는 전국의 누수학교를 모두 보수하는 데 총 57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학교 측에서 관할 교육청에 지원요청을 하더라도 추가예산을 배정받는 데 몇달이 소요되고 업체 공개입찰 등 복잡한 행정절차로 인해 지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정작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철에는 학생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입고 있다는 불만이 나온다. 대형 태풍 3개가 지나간 올여름에도 대부분의 학교는 비닐로 덮는 등 응급조치만 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비가 새는 등 교육시설의 기본 여건도 갖추지 않은 학교가 너무 많다.”면서 “보수비용이 수십조원에 이르는 교육예산에 비해 크게 부담되는 수준이 아닌 만큼 시급히 시설을 보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09-25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