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척으로 왜선 133척 격퇴 명량대첩 뒤엔 오익창의 사대부 참전 호소 있었다

12척으로 왜선 133척 격퇴 명량대첩 뒤엔 오익창의 사대부 참전 호소 있었다

입력 2012-09-19 00:00
업데이트 2012-09-19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승석소장 ‘사호집’ 발굴 완역 “군량지원 이끌어 승리 기적 일궈”

이순신 장군은 명량해전에서 어떻게 12척의 배로 133척의 왜군을 격파할 수 있었을까. 그저 이순신의 탁월한 작전과 전투능력만이었나.

임진왜란과 관련해 최고의 연구자로 알려진 여해(汝諧)고전연구소 노승석(43) 소장은 최근 명량대전의 전황을 생생히 기록한 오익창의 문집 ‘사호집’(沙湖集·오른쪽)을 발굴해 명량해전을 세세히 들여다봤다. 전북 고창 출신의 유학자인 오익창(吳益昌·1557~1635)은 명량해전 당시 외딴섬으로 몸을 피하려는 사대부들에게 전쟁에 가담할 것을 호소해, 이들이 이순신과 해군에 식량을 지원하게 했던 공이 있다. 노 소장에 따르면 그 결과 명량해전은 단 12척의 배로 왜군의 배 133척을 격파하는 기적을 일궈냈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노승석 여해고전연구소 소장
노승석 여해고전연구소 소장
오익창이 사대부에 호소한 내용은 절절하다. “통제사(이순신)가 패하게 되면 우리의 울타리가 철거될 것이니, 비록 외딴섬에서 저마다 보전하고자 한들 그렇게 할 수 있겠는가. 차라리 힘을 모아 합세해 통제사를 위해 성원(聲援)한다면 온전히 살 길이 있을 것이니 가령 모두 죽을지라도 나라를 위해서 충성을 다했다는 명분은 있게 될 것이오.”(統制敗則我之藩籬撤矣 雖欲各保孤島 得乎 毋寧幷力合勢 爲統制聲援 有可以苟全之路 藉令俱死 亦有爲國效忠之名也)

노 소장은 “‘사호집’은 영조 49년(1773)에 간행됐는데 지금까지 소개된 적이 없는 자료”라고 밝혔다. 노 소장은 400여년 동안 ‘사호집’을 보관해 온 오익창의 직계 자손에게서 자료를 입수했다고 말했다. 이순신이 당사도(무안군 암태면)로 진을 옮기려 했으나 “영험한 기운이 있어 함부로 범접할 수 없다.”는 오익창의 조언을 받아들여 당사도에 접근하지 않았지만 명나라 진린 장군은 당사도에 군사를 주둔시켰다가 폭풍우를 만나 가까스로 위기를 모면했다는 이야기 등 새로운 내용도 실려 있다.

‘사호집’에는 이순신이 “12척의 군졸들이 굶주림과 추위를 면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공의 힘이었다.”며 오익창의 공을 치하한 내용이 기록돼 있다. ‘난중일기’를 최초로 완역한 노 소장은 이번에 ‘사호집’을 완역해 책으로 펴냈다. 노 소장은 19일 오후 2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사호집 자료 발표회를 열고 이의 자료적 가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9-19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