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딸 47년 돌보며 뇌성마비 복지 팔걷었죠”

“장애 딸 47년 돌보며 뇌성마비 복지 팔걷었죠”

입력 2012-09-17 00:00
업데이트 2012-09-1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일 ‘복지협회장’ 취임 최경자씨

“엄마가 벽에 부딪혀서 낙심할까 봐 걱정이야. 모나면 정 맞는댔어.” “괜찮아. 엄마가 슬기롭게 잘 해결해 나갈게.”

이미지 확대
최경자(오른쪽) 한국뇌성마비복지회 회장과 안상희 국가인권위원회 사무관. 연합뉴스
최경자(오른쪽) 한국뇌성마비복지회 회장과 안상희 국가인권위원회 사무관.
연합뉴스
지난 14일 오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근처 카페에서 국가인권위 사무관인 안상희(47)씨와 최근 사단법인 한국뇌성마비복지회 회장으로 선출돼 오는 20일 취임식을 갖는 최경자(71)씨가 마주 앉아 서로를 걱정했다. 안씨는 뇌성마비 장애인으로 어머니인 최씨의 돌봄 속에서 자랐다. 안씨는 장애 탓에 말하는 게 편치 않아 보였지만 최씨는 그런 딸의 얘기를 잘 이해하고 통역사 역할을 했다.

1965년 고통 끝에 태어난 안씨는 뇌성마비 2급 진단을 받았다. 어머니 최씨는 “딸이 장애인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최선을 다하기로 마음먹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안씨가 학교 들어갈 나이가 되자 최씨는 문교부(옛 교육과학기술부)에 찾아갔고 지체장애인 특수학교인 삼육재활학교를 알게 됐다. 이후 학교를 방문한 최씨는 “딸처럼 뇌성마비를 앓고 있는 아이들이 수십·수백명이 있는 것을 보고 충격에 빠졌었다.”고 말했다.

이때부터 최씨는 한국뇌성마비복지회 창립에 참여, 1978년부터 34년간 이사를 지냈다. 또 기회가 있을 때마다 방송에 출연해 장애인 문제를 알렸다.

결국 안씨는 어머니의 지극정성과 본인의 성실함 덕에 국내 대학에서 사회복지학, 미국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고 2002년 국가인권위 5급 연구원 공채에 합격하는 기쁨까지 누렸다. 현재는 서울대에서 사회복지 박사 학위를 준비 중이다.

최씨는 딸을 자랑스러워하면서도 “장애인을 인간으로 귀하게 여기는 사회 분위기가 아쉽다.”면서 “진정한 선진국이 되려면 10년은 더 있어야 된다.”고 지적했다. 최씨는 또 “무엇보다 장애인 자식을 둔 부모에게 꼭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서 “가족부터 장애인에게 자신감을 줘야 하고, ‘넌 대단한 사람이야’ ‘넌 소중해’ 같이 따뜻한 말을 통해 그렇게 실제 느끼도록 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밖에 나가서 주눅이 든다.”고 강조했다.

이범수기자 bulse46@seoul.co.kr

2012-09-17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