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직접 선택과목 만들어 꿈 성찰”

“학생들이 직접 선택과목 만들어 꿈 성찰”

입력 2012-07-09 00:00
업데이트 2012-07-09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는 공부하라는 말만 들었지 ‘뭘 배우고 싶니?’라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잖아요.”

유덕수(31) 열정대학 사무총장은 2년 전 깊은 고민에 빠졌다. 그는 “남 보기에는 잘나가는 청년 사업가였지만 언제나 속이 허전했다.”면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했던 때”라고 당시를 돌이켰다.

그는 2010년 유학원 사업을 접은 뒤 사회적 기업을 차리기로 마음먹고 열정대학이라는 1년짜리 교육과정을 만들었다.

이미지 확대
유덕수 열정대학 사무총장
유덕수 열정대학 사무총장
●입학 경쟁률 4대1 인기

열정대학은 정식 대학이 아니다. 수업을 모두 들어도 정식 학위가 주어지지는 않는다. 대신 학생들이 하고 싶은 일들을 과목으로 만들어 준다. 교육과정은 독서와 글쓰기 등 필수 8과목과 무전여행, 패러글라이딩, 독립영화 제작 등 선택 12과목으로 구성됐다. 선택과목은 학생이 스스로 만들 수도 있다.

유 사무총장은 “열정대학은 대안학교라기보다 일종의 공존학교”라면서 “진학 위주의 현 교육시스템에서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진로교육의 욕망을 채워 주는 것이 열정대학의 일차적인 목표”라고 설명했다.

진로 결정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의 호응은 뜨겁다. 현재 152명이 열정대학의 수업을 듣고 있고, 44명을 뽑은 지난 8기 모집에는 160여명의 학생들이 지원했다. 경희대와 한국외대에는 동아리 형태의 캠퍼스도 생겼다. 그는 “그만큼 자신이 진정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모르는 학생들이 많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그가 열정대학을 만든 이유는 간단하다. 학생들에게 자신의 꿈을 성찰할 기회를 주고 주체적인 삶을 사는 사람이 늘어났으면 좋겠다는 바람에서다.

●유명대학내 동아리 형태 캠퍼스도 생겨

유 사무총장은 “대학생 80%가 취업에만 매달리는데 그러는 사이 자신이 진정 무엇을 하고 싶은지는 생각할 틈도 없다.”면서 “모두가 빌 게이츠, 스티브 잡스가 되겠다는 꿈을 꾸는 게 과연 행복한가.”라고 되물었다. 그는 이어 “누구처럼 되려고 하는 것보다 자신이 어떤 재능이 있고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10년 안에 전국 대학 360곳에 열정대학을 만들고 더 멀게는 대안학교 형식의 4년제 대학도 생각하고 있다는 그는 마지막으로 “자신의 진짜 꿈을 실현하는 것이 성공”이라면서 “20대들이 다양한 꿈을 찾아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07-09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