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 성적표 ‘ABCDE’로

중1 성적표 ‘ABCDE’로

입력 2012-07-05 00:00
업데이트 2012-07-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우미양가’서 표기 변경… 과목별 석차도 기재 안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이번 1학기 말 받게 될 성적표에는 학업성취도를 나타내는 ‘수·우·미·양·가’ 대신 알파벳 ‘A·B·C·D·E’로 성적이 표시된다. 과목별 석차도 기재하지 않는다. 대신 원점수와 과목평균, 표준편차가 새롭게 표기된다. 상대평가와 ‘성적 줄세우기’에 따른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덜어주기 위한 조치다. 새 성적 표기 방식은 내년에는 중 2, 2014년에는 중 3 학생들에게까지 확대 적용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중·고교 내신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꾸기 위해 지난해 12월 발표한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에 따라 중학교 1학년 1학기 말부터 성적 표기 방식을 변경한다고 4일 밝혔다.

중학교는 이미 올해 초부터 시행하는 ‘수·우·미·양·가’ 성취평가제를 기말고사부터 알파벳 방식으로 전환, 성취평가제를 전면 시행하는 것이다. 대부분 교과목은 ‘A·B·C·D·E’로 적지만 체육·예술과목은 ‘A·B·C’ 3단계로 나눠 ‘우수-보통-미흡’으로 구분할 계획이다. 환경·보건·진로와 직업 등 선택 과목은 현행 ‘이수’ 표기를 ‘P’로 바꾼다. A가 의미하는 성취율은 90% 이상, B는 90% 미만∼80% 이상, C는 80% 미만∼70% 이상, D는 70% 미만∼60% 이상, E는 60% 미만∼40% 이상이다. 성취율 40% 미만을 기준으로 하는 최소 학업 성취기준에 도달하지 못할 때 ‘F’로 기재하는 재이수제는 내년 40개 중학교에서 시범 운영한 뒤 연말에 도입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고교 성취평가제의 경우 우선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의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번 학기부터 상대평가에 기반을 둔 석차등급을 빼고 ‘A·B·C·D·E’ 방식으로 성취도를 기재한 성적표를 마련하기로 했다. 원점수와 과목평균, 표준편차는 현행대로 함께 표시한다. 일반계 고교는 올해부터 2년간 100개 고교에서 시범 운영한 뒤 2014년에 입학하는 학생들부터 성취평가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과목별로 석차를 매겨 9등급으로 나누는 기존 석차 9등급제는 개별 학생의 성취도에 따라 ‘A·B·C·D·E·(F)’의 6단계 표시로 바뀐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2-07-05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