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새노조 “공개 문건 중 현정부 민간사찰 86건”

KBS새노조 “공개 문건 중 현정부 민간사찰 86건”

입력 2012-04-02 00:00
업데이트 2012-04-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리실 사찰문건 자체분석..”盧정부 2천356건은 경찰 작성한 듯”

KBS 새노조는 1일 오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사찰과 관련한 문건 2천619건을 자체적으로 조사·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새노조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2천619건의 문건 중 현 정부 들어 작성된 것은 481건이고, 이중 민간인을 대상으로 하거나 항목으로 돼 있는 것이 86건이다.

새노조는 “민간인 또는 민간단체를 대상으로 한 사찰 문건이나 항목은 86건으로 40명의 단체 혹은 개인이 포함됐다”며 “언론인 또는 언론사를 상대로 한 문건이나 항목은 19건”이라고 전했다.

사찰 대상이 된 민간단체나 개인에는 이미 보도된 김종익·남경필 의원, KBS·MBC·YTN 외에도 개신교계 S목사, 방송관련 단체 K이사장 등이 포함됐다고 새노조는 밝혔다.

공기업 임직원을 다루는 문건이나 항목은 85건으로 이 가운데 21건이 비정상적 감찰로 보인다고 새노조는 주장했다.

한편, 문건의 80%가 노무현 정부 때 만들어졌다는 청와대의 발표에 대해 “진실을 호도하고 정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며 반발했다.

새노조는 “노무현 정부 당시 작성 문건 2천356건은 작성 주체가 대부분 경찰이며, 경찰 내부 감찰이나 인사 동향 등 단순·통상적 보고서로 확인됐다”며 2006년 박근혜 새누리당 비대위원장 피습 사건, 2007년 전국 공무원노조 집회 동향 등과 관련한 원문 6건을 공개했다.

새노조는 “3월 29일과 30일 ‘리셋 KBS뉴스9’ 보도와 기자회견을 통해 공개 문건이 2008년 이전에 만들어진 자료도 상당수 보이고, 총리실에서 다 작성했다고 확신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면서 “그런데도 2천600여건의 문건 모두가 총리실 사찰 보고서, 혹은 극단적으로 민간인 불법 사찰 보고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리셋 KBS뉴스9’ 3회 일부 보도의 표현이 잘못된 점은 유감이고 바로잡는다”고 해명했다.

새노조는 이어 “이번에 입수한 문건은 총리실의 민간인 불법 사찰 의혹이 폭로된 후 조직적으로 증거를 인멸한 뒤 복구되거나 남은 극히 일부”라고 주장하면서 “이 부분에 대한 취재와 문제제기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