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나로호 3차 발사 힘들다

올해 나로호 3차 발사 힘들다

입력 2012-02-23 00:00
업데이트 2012-02-23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형 우주발사체 나로(KSLV-1)의 3차 발사가 올해를 넘길 가능성이 커졌다. 1단 로켓을 제작하는 러시아 측의 일정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로켓 전달이 오는 9월을 넘기면 사실상 올해 발사가 불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22일 KSLV-1 사업에 관여해온 한 관계자는 “흐루니체프가 10월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는 한국 측의 일정을 맞추기 힘들다며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10월에 발사하려면 최소한 9월 이전에는 도착, 테스트와 조립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는 “만약 전달이 10월 또는 11월에 이뤄지면 12월 대선이라는 국가적 이슈와 맞물린다.”면서 “전 세계적으로도 대통령 선거 전후로는 성공과 실패 어느 쪽이든 부담이 되기 때문에 로켓 발사가 이뤄진 경우가 거의 없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자금 문제를 지속적으로 호소해온 흐루니체프가 추가적인 지원을 받아내기 위해 부린 ‘꼼수’가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학계의 한 관계자는 “흐루니체프 입장에서 로켓 제작이 기술이나 자금적으로 큰 부담이 될 만한 사업이 아니다.”라면서 “결국 초조한 한국 측의 심리를 파고들어 추가 이득을 노리는 포석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항우연은 이에 대해 “전혀 근거 없는 소리”라고 밝혔다. 항우연 관계자는 “지난 연말 갱신된 계약에 따르면 일정이 지연될 경우 오히려 러시아 측이 위약금을 물어야 하고 나로호 사업 잔금도 받을 수 없다.”면서 “선거 이전에 나로호 발사를 하지 못하게 하려는 음모론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02-23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