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생 ‘학교부적응’ 이유로 학업중단 증가

중고교생 ‘학교부적응’ 이유로 학업중단 증가

입력 2012-02-13 00:00
업데이트 2012-02-13 08: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ㆍ고등학생이 학업을 중단하는 주된 이유가 과거에는 ‘가정 형편’이었지만 요즘은 ‘학교생활 부적응’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펴낸 ‘2011 교육통계 분석자료집’에 따르면 지난해 고교 학업중단자는 3만8천887명으로 학업중단율은 전체의 2%였다.

학업중단율은 ‘재적학생 중 중도 탈락하는 학업중단자의 비율’이며 학업중단자는 질병, 가사, 품행, 부적응 및 기타 사유로 제적ㆍ중퇴 및 휴학한 학생이다.

원인별 분포는 학교생활 부적응(45.1%)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유학ㆍ이민 등 기타(36.2%), 가사(11.6%), 질병(5.8%), 품행(1.2%) 순이었다.

부적응의 비중은 학업중단 원인으로 처음 포함된 2000년 조사(43.6%)에서 가사(37.9%)를 제쳤다. 그 뒤 약간 줄었다가 2007년(42.5%) 이후 매년 40%대를 유지했다.

다만 부적응이 성적 부진 때문인지, 수업을 제대로 못 따라가서인지, 교사ㆍ동료 학생과의 불화 때문인지 등 상세한 이유는 파악되지 않았다.

부적응 사유 중 가사의 비중은 2005년 20%대로 떨어진 뒤 2009년 24.2%, 2010년11.6%까지 하락했다.

고교 학업중단율은 1980년 3%, 1990년 2.4%, 2000년 2.3%, 2005년 1.3%로 줄었다가 2010년 2%를 기록해 소폭 오름세다.

중학교 학업중단율은 1980년 1.4%에서 2000년 0.7%까지 감소했다가 2010년 1%로 약간 올랐다. 원인별 분포 자료는 공개되지 않았다.

개발원은 “최근 중고교의 학업중단 이유에서 주목해야 할 변화는 과거 가정의 경제적 빈곤이 주된 원인이었다면 최근에는 비행이나 학교생활 부적응이라는 점”이라며 “학교교육의 부실과 위기라는 맥락에서 파악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