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시간 늘리면 학교폭력 준다?

체육시간 늘리면 학교폭력 준다?

입력 2012-02-13 00:00
업데이트 2012-02-13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과부 “신체활동 늘려 폭력근절” “사각지대 생겨 폭행… 탁상행정”

지난 6일 정부가 제시한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 가운데 중학교 체육 시간 확대안과 관련, 교육현장에서 “탁상행정의 표본”이라는 강한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복수담임제, 게임물의 일일이용시간을 제한하는 ‘쿨링오프’(Cooling off)제 등 다른 대책의 문제도 적잖지만 학교 현장과 직접적으로 맞닿은 체육시간 확대는 교육 현실을 너무 모르는 졸속 대책이라는 것이다.

학교폭력대책 중 중학교 체육 수업시수를 50% 늘리는 안은 신체활동 욕구가 왕성한 학생들이 말 그대로 ‘체·덕·지’를 겸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라는 게 교육과학기술부 측의 설명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수업 시간에 쌓였던 스트레스를 체육 활동을 통해 풀고, 학생 간 단결력을 강화하면 학교 폭력도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교육 현장의 반응은 현장의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형식적 대책이라며 싸늘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서울 관악구 A중 김모(30) 교사는 “마치 군대에서 내무 생활보다 체육 활동에 비중을 둬 병사 간의 구타 및 가혹 행위를 예방하겠다는 발상과 비슷하다.”면서 “단순히 폭력사고 예방을 위해 체육 활동을 늘리는 것은 학교를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수동적인 군 조직과 같은 시각으로 본 결과”라고 주장했다.

학생들은 체육 시간을 ‘왕따(집단따돌림)들이 더욱 소외되는 시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교사의 시선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기회가 많아 암암리에 유·무형의 폭행이 자행되기 때문이다. 서울 강동구 B중 이모(15)양은 “팀을 짤 때 끼리끼리 모인다.

대부분 왕따와 같은 팀이 되기를 꺼리는 게 사실”이라면서 “체육 시간에 생긴 갈등으로 동급생 간에 심한 싸움을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교사들의 책임이 한층 요구되는 대목이다. 게다가 규정상 주 2~3시간에 불과한 체육 시간의 50% 확대는 1~1.5시간 늘어나는 데 불과, 효과가 크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장은숙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 회장은 “학교들은 여전히 국어·영어·수학 중심의 입시 위주의 교육 과정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체육 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 있지 않다는 뜻”이라면서 “학교폭력 대책 중에서도 체육 수업 확대는 결국 흐지부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꼬집었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2-02-13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