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비대위원 - 고대녀 김지윤씨, 반값등록금 등 맞짱 토론

이준석 비대위원 - 고대녀 김지윤씨, 반값등록금 등 맞짱 토론

입력 2012-02-04 00:00
업데이트 2012-02-04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 국민 이익 우선” vs “뻥튀기 예산 줄이면 가능”

“대책 없는 반값 등록금은 부메랑일 뿐이다.”(이준석) “생색내기용 등록금 인하로는 지금의 문제를 풀 수 없다.”(김지윤)

새누리당(옛 한나라당) 이준석(27) 비상대책위원회 상임위원과 이른바 ‘고대녀’로 이름난 고려대 사회학과 4학년 김지윤(28)씨가 3일 오후 고려대 교육방송국(KUBS)에서 20대 젊은이들의 현안을 놓고 ‘맞짱토론’을 벌였다. 하버드 대학 출신으로 최연소 여당 상임위원을 맡은 이씨와 2008년 촛불시위 때 TV토론에 출연해 전문 패널들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 유명세를 탄 김씨의 대결이었다.

이미지 확대
새누리당 이준석 비대위원과 고려대 사회학과 4학년 김지윤씨가 3일 고려대 교육방송국(KUBS)에서 ‘맞짱토론’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새누리당 이준석 비대위원과 고려대 사회학과 4학년 김지윤씨가 3일 고려대 교육방송국(KUBS)에서 ‘맞짱토론’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이준석 “새누리당 ‘새됐다’ 생각나”

이씨는 토론에 앞서 “당명 회의에서 새누리당으로 결정이 됐다는 이야기를 듣고 새롭다의 새가 아니라 ‘새됐다’의 새가 생각났다.”며 거리낌없이 털어놓았다. 또 당의 자료를 들고 오면서도 “많이 준비 못했다.”고 했다. 토론이 일찍이 화제가 됐던 만큼 80여명에 달하는 방청객들의 기대도 한껏 부풀었다. 토론은 등록금, 대학구조개혁, 실업 문제 등을 다뤘다. 어색한 악수에 이어 두 젊은이의 토론은 첫 주제부터 대립각을 세웠다. 토론은 2시간가량 진행됐다.

김씨는 반값 등록금과 관련, “4대강에 22조원을 투입하면서 반값 등록금은 불가능하다고 하는 것이 현 정권과 여당”이라면서 “진정성이 의심된다.”며 선제 공격했다. 이 위원은 “대학에 진학하는 사람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반값 등록금은 국민 전체가 혜택을 받지 못한다.”면서 “새누리당이 총선 공약으로 고교 무상교육을 넣었다. 그리고 정부 정책과 여당의 정책은 다르다.”고 받아쳤다. 반값 등록금 실현을 위한 증세도 거론됐지만 정치권의 목소리 수준에 머물렀다.

●방청객들 “정치판 축소판” 싸늘한 반응

대학구조개혁에 대해 김씨는 “등록금을 내려 달라고 하니까 학교를 줄이겠다는 동문서답”이라면서 “비리사학을 퇴출하고 국·공립으로 전환하는 것이 진정한 구조조정”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이 위원은 “구조조정을 열심히 한 후에 대학에 재정지원을 한다는 것이 정책방향”이라면서 “부실대학을 정리하지 않고 지원하면 비용이 3~4배는 들 것”이라며 새누리당의 논리를 폈다.

청년실업도 다뤘다. 이 위원은 “청년실업 문제 중 큰 것은 교육의 방향성과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의 불합치”라며 무엇보다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씨는 “좋은 일자리는 사라지고 청년 인턴과 같은 단기 아르바이트만 늘어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위원도 “공감한다. 좋은 의견이 있으면 반영하려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더 이상 나아가지는 못했다.

토론이 끝난 뒤 이 위원은 “정책적 대척점에 서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세부적인 내용을 토론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김씨는 “등록금과 청년실업 문제 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토론을 지켜 본 학생들의 반응은 비교적 싸늘했다. 신선감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각본을 서로 읽은 것 같다. 젊은 세대의 재기 발랄한 토론을 기대했는데 정치권의 토론을 다시 본 듯하다.”고 평가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02-04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