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절대평가 같은 성취도 A라도 ‘순위’는 있다

고교 절대평가 같은 성취도 A라도 ‘순위’는 있다

입력 2011-12-15 00:00
업데이트 2011-12-15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점수·과목평균 그대로 활용 ‘절대+상대’ 담은 혼합평가제

올해 중학교 1학년생이 고교에 입학하는 2014학년도부터 절대평가가 도입되면 대학입시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절대평가가 시행돼도 순위가 없어지지 않는다. 완벽한 절대평가라면 원점수와 상관없이 A·B·C·D·E까지의 학생 성취도만으로 내신성적이 반영돼야 하지만 이번 절대평가는 원점수와 과목평균, 표준점수 등 상대평가적 요소도 그대로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절대와 상대평가 요소를 모두 담은 ‘혼합평가제’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미지 확대


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 13일 내놓은 2014학년도부터 고교에 적용될 절대평가인 성취평가제에는 상대평가의 요소도 들어가 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도 “성취평가제에는 평균점수 등 상대평가 요소가 들어 있다.”면서 “기존의 상대평가제 요소에 과목별 국가성취도가 더 추가돼 내신에 대한 정보량이 더 많아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성적 기재 방식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표기에서 석차등급만 성취도로 바뀌었을 뿐 단위 수, 원과목, 과목평균, 표준편차는 그대로 활용된다.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요소 모두가 들어 있어 대학이 입시에서 고교 내신을 반영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과목평균과 표준편차 등을 사용해 원점수를 보정하는 상대평가 방식을 활용하거나 종전의 절대평가 방식처럼 A~F의 6단계 성취도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문제는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를 사용했을 때의 문제점이 모두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내신 점수를 위한 사교육 증가와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등 특목고 우대 등 학교서열화, 고교 등급제 문제 등 여러 부작용이 예상된다. 원점수를 보정하는 방식은 해당 고교의 성취도 즉 내신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학교 간 수준이 다른 만큼 서로 다른 점수를 주겠다는 것이다. 이는 곧 정부가 금지하고 있는 ‘3불(不)정책’ 가운데 하나인 고교등급제를 허용하는 결과를 불러올 수 있다. 반대로 성취도만 반영하면 기존 수-우-미-양-가의 절대평가에서 드러났던 내신 부풀리기 현상이 재현될 수 있다.

이런 상황을 교과부도 전혀 모르지는 않는다. 하지만 절대평가제를 시행하지 않으면 교과교실제와 수준별 수업으로 대표되는 2009 개정교육과정 자체가 제대로 정착될 수 없다. 때문에 기존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절대평가를 도입하면서 결국은 두 평가요소가 모두 포함된 성취도평가제를 채택한 것이다. 이 장관이 “성취도평가제는 큰 방향에서는 중요한 정책이다. 평가제도가 바뀌지 않으면 계속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고 말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12-15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