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시작 日위안부 수요시위 1천회 ‘눈앞’

1992년 시작 日위안부 수요시위 1천회 ‘눈앞’

입력 2011-12-08 00:00
수정 2011-12-0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20년 장기집회..14일 일본대사관 앞 1천회 수요시위

1992년 시작된 일본군 위안부 수요시위가 14일 1천회를 맞는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수요일인 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제999회 수요시위를 열고 일본과 한국 정부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수요시위의 시작은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당시 일본 총리의 방한을 앞둔 1992년 1월8일이었다.

이날 정대협 회원 30여명이 일본대사관 앞에서 ‘종군위안부 강제연행 인정과 희생자에 대한 손해배상’ 등 6개항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당시 일본 총리의 방한에 즈음한 일회성 행사로 여겨졌으나 이후 횟수를 늘려가면서 일본 정부에 대한 민간 차원의 대표적 ‘반일집회’로 자리 잡았다.

지속 기간이 20년에 가까운 이 시위는 국내 집회 사상 유례가 없는 최장기 집회다.

그동안의 수요시위에는 선생님의 손을 잡고 온 유치원생부터 독립군으로 활약했던 할아버지, 일본인, 세계 각국의 인권단체 회원들 등 나이와 국적을 불문한 수많은 사람이 참석했다.

수요시위는 해를 거듭하면서 광복절과 세계여성의 날 등의 기념일에는 세계 연대 집회로 진행돼 각국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외치기도 했다.

이런 노력은 어느 정도 성과도 거둬 한국 정부는 수요시위가 첫 테이프를 끊은 지 며칠 안 된 1992년 1월24일 외무부 내에 ‘정대협 실무대책반’을 만들어 정부 부처가 문서자료를 조사하고 내무부와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정신대 피해자 신고’를 받았다.

그 사이 정대협은 대부분의 피해 여성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점을 감안, 1993년 생활안정지원법 제정을 촉구해 피해자들에게 임대아파트를 제공하고 일본 전범에 대한 출입국금지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기여했다.

수요시위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대내외적으로 알린 결과 2007년 미국 하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의 사죄를 촉구하는 결의안이 채택됐다. 이후 각국 의회와 일본, 한국 등 지방의회에서도 결의안 채택이 이어지고 있다.

국제 인권기구와의 연대 또한 강화돼 일본이 저지른 위안부 강제연행에 대한 국제적인 비난 여론을 환기시키는 성과도 이어졌다.

하지만 시련도 적지 않았다. 대사관 주변 100m 이내에서는 집회를 열 수 없다는 법 때문에 집회 때마다 경찰과 몸싸움을 벌이는 게 예사였고 외교적으로 민감한 시기엔 집회가 원천봉쇄될 뻔한 적도 있다.

그 사이 위안부 할머니들도 하나 둘 세상을 떠 현재 정부에 등록한 위안부 피해자 234명 중 생존자는 65명에 불과하다.

20년에 가까운 기간 수요시위는 많은 변화를 낳았다.

무엇보다도 조국에서조차 관심과 배려를 받지 못하고 수치심과 피해의식 속에서 살아온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스스로 권리와 자의식을 주장할 수 있게 만들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위안부 문제가 여성 개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 제국주의에 피해를 본 우리 전체의 문제라는 국민적 공감대도 형성됐다.

정대협은 1천회 수요시위를 기념해 14일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위안부 소녀를 형상화한 평화비 제막식을 가질 예정이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