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 공무원 느는데 처벌은 ‘솜방망이’”

“비리 공무원 느는데 처벌은 ‘솜방망이’”

입력 2011-09-20 00:00
업데이트 2011-09-20 1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금 횡령과 뇌물 수수 등 행정부 공무원의 비리 행위가 급증하고 있지만 비위 행위에 대한 징계 처분은 매우 미약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유정복(한나라당)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공무원 행동 강령 위반자는 2008년 764명, 2009년 1천89명, 지난해 1천436명으로 최근 3년새 배 가까이로 늘었다.

그러나 공무원의 행동강령 위반자 중 파면 또는 해임, 정직 등 중징계 처분을 받은 사람은 전체의 47.7%에 불과하다고 유 의원은 지적했다.

중징계 처분을 받은 공무원을 제외하고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자의 40.3%는 주의 또는 경고에 그쳤으며 9.7%는 훈계 또는 인사 조치를 받는 것으로 종결됐다.

공무원의 공금횡령 건수는 2008년 11건에서 지난해 63건으로 5배 이상으로 증가했고 뇌물 수수 건수는 2008년 55건에서 지난해 419건으로 8배 가까이로 늘었다.

유 의원은 “공무원 윤리가 확립되지 않으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며 “행동 강령 위반이나 비리 행위에 대한 단호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