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고 전학률 일반고의 3배 육박

자율고 전학률 일반고의 3배 육박

입력 2011-09-20 00:00
업데이트 2011-09-20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업료 3배 비싸지만 내신 불리 올 전국 51개교 852명 중도이탈

“자율형 사립고 학생들은 전학 중?” 고교 다양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난해 도입된 자율고 학생들의 전학 비율이 일반고의 2.89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고와 크게 차별화되지 않은 교육과정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업료를 내야 할뿐더러 대학 입시에서도 그다지 유리하지 않다는 점 등이 학생들의 불만으로 작용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김세연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국 51개 자율고에 등록했던 학생 1만 7296명 가운데 852명이 전학 및 학업중단 등으로 중도 이탈했다.

특히 다른 학교로 옮기는 전학 학생은 701명(4.93%)으로, 전체 135만 2839명 가운데 1만 8982명(1.4%)이 전학한 일반고의 3배 가까이 됐다. 자율고에서 자퇴·퇴학·휴학 등 학업을 중단하는 학생들도 151명(0.85%)에 달했다.

전학, 자퇴 등 중도이탈 학생 수가 많은 학교로 서울에서 용문고(51명), 우신고(44명), 현대고(40명), 미림여고(37명), 세화여고(32명) 등이 꼽혔다. 대구 경일여고도 43명이었다.

지역별로는 자율고가 4곳인 대구에서 90명(6.52%)의 학생이 학교를 떠나 가장 높은 이탈율을 보였다. 이어 부산의 자율고 2곳에서 33명(6.18%), 서울 27개 학교에서 602명(6.13%)이 학교를 옮기거나 학업을 중단했다.

김 의원은 이처럼 높은 자율고 학생들의 이탈에 대해 “일반고에 비해 3배 가까이 비싼 수업료를 받으면서도 학교의 질적 수준이 일반고에 비해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탈율이 6%를 넘은 서울과 부산, 대구는 1인당 평균 수업료가 각각 419만 4852원, 421만 9000원, 420만 1200원으로 다른 지역들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서울 양정고가 435만 3000원으로 수업료가 가장 많았다.

성기선 가톨릭대 교수는 “자율고가 일반 사립대학의 3분의2 수준의 수업료를 받으면서도 입시 위주의 교육과정 운영으로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데다 입시에서도 내신에서 불리해 떠나는 학생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2011-09-20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