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은행·증권 심장부도 ‘해커 밥’

대한민국 은행·증권 심장부도 ‘해커 밥’

입력 2011-09-20 00:00
업데이트 2011-09-20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결제원과 한국거래소 같은 우리나라 은행·증권 거래의 심장부라 할 금융 허브들이 해킹과 같은 사이버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도스(DDos·분산서비스 거부) 공격 등에 의한 온라인 거래 마비는 물론, 서버 파괴로 인한 거래정보 유실 사태도 우려된다.

1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이성헌 의원이 금융결제원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2011년 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대책’에 따르면 은행의 거래 정보를 총괄하는 금융결제원의 경우 전자거래공인인증시스템 중 해킹을 차단·탐지하는 시스템은 NXG2000·TAS 장비로, 각각 2004년과 2005년에 제작된 것이다. 해커들이 통상 최근 3개월 이내에 개발된 해킹 기법을 활용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모든 해킹 공격에 노출된 셈이다.

특히 주식·선물 거래를 중개하는 한국거래소는 총체적 부실 상태다. 유가증권·코스닥 거래매매체결시스템 등에서 외부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비밀번호를 활용하고, 통제시스템에 접속할 때 USB(이동식저장장치)를 사용하는 등 기본적인 보안 수칙조차 지키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2500조원에 이르는 유가증권을 예탁받아 매매결제서비스를 해주는 한국예탁결제원(KSD)은 정보보호 전담인력이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들 기관의 정보보호 수준은 총 5단계 중 금융결제원 3.42단계, 거래소·코스콤 3.83단계, KSD 3.47단계 등으로 저조했다.

익명을 요구한 사이버 테러 전문가는 “일반 기업도 4단계 이상의 정보보호 수준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금융·증권 거래를 총괄하는 이들 기관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사실상 낙제점 수준”이라고 경고했다.

장세훈·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1-09-20 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