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폭염’ 수요예측 못하고 발전소 정비하다 ‘과부하’

‘이상 폭염’ 수요예측 못하고 발전소 정비하다 ‘과부하’

입력 2011-09-16 00:00
업데이트 2011-09-16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전사태 왜 일어났나

15일 서울 등 전국에 혼란을 초래한 정전 사태는 수요 예측 실패에 따른 관재(官災)였다.

이미지 확대
① 늦더위로 전력 수요가 일시에 몰리면서 전국적으로 정전 사태가 발생한 15일 오후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거래소 중앙급전실에서 직원들이 전력수급 현황판을 보며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 ② 서울 중구의 한 은행 자동입출금기(ATM) 센터에 ‘정전 안내문’이 붙어 있다. ③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의 한 양식장에서 정전 사태로 인해 광어 1만 5000마리가 집단 폐사한 가운데 주인이 광어를 살리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손형준기자·연합뉴스 boltagoo@seoul.co.kr
① 늦더위로 전력 수요가 일시에 몰리면서 전국적으로 정전 사태가 발생한 15일 오후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거래소 중앙급전실에서 직원들이 전력수급 현황판을 보며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 ② 서울 중구의 한 은행 자동입출금기(ATM) 센터에 ‘정전 안내문’이 붙어 있다. ③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의 한 양식장에서 정전 사태로 인해 광어 1만 5000마리가 집단 폐사한 가운데 주인이 광어를 살리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손형준기자·연합뉴스 boltagoo@seoul.co.kr


정부가 늦더위가 기승을 부린 이날의 최대 전력 수요량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고, 수요 예상치를 넘어선 발전소의 운행을 정지, 정비에 나서 전력 과부하가 빚어졌기 때문이다. 한국전력도 전력 대란의 위험성을 예고하지 않는 등 늑장 대응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지식경제부와 한국전력,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들어 전력량은 급격히 증가했지만 발전소 정비로 인해 3시쯤에는 예비전력이 역대 최저인 148만 9000㎾로 떨어지면서 전국적인 정전 사태가 촉발됐다. 전력 사용량은 폭증했는데 전력 예비율이 급격히 낮아졌고, 단계적으로 부하를 차단하면서 정전이 된 것이다.

전력거래소와 한전은 예비전력이 안정 유지수준 이하로 떨어지자 95만㎾의 자율절전과 89만㎾의 직접부하제어를 시행했고, 이후에도 수요 증가로 400만㎾를 회복하지 못하자 지역별 순환정전에 들어갔다.

자율절전은 한전과 수용가가 미리 계약을 맺고 수용가가 자율적으로 전력소비를 줄이는 것이며, 직접부하제어는 한전이 미리 계약을 맺은 수용가의 전력공급을 줄이는 것이다. 지역별 순환정전은 이들 두 가지 조치로 예비전력 400만㎾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사전 작성된 매뉴얼에 따라 지역별로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조치이다. 전국적으로 제한 송전을 단행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무더위가 한풀 꺾였다고 보고 여름 동안 많이 돌렸던 전국 곳곳의 발전소 정비에 들어갔지만 이날 예상보다 수요가 많이 몰렸다.”고 설명했다.

지경부는 최대 전력 수요가 6300만~6400만㎾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후에 접어들며 6726만㎾에 달했다는 것이다.

올여름 늦더위 여파로 지난달 여름철 최대 전력 수요를 경신한 바 있다. 지난달 31일 오후 3시 최대 전력 수요가 7219만㎾를 기록했는데, 이는 여름철 사상 최대치였다. 당시 예비전력은 544만㎾로 공급예비율은 7.5%에 불과했다. 당국이 늦더위에 따른 전력 수요를 감안해 전력예비율만 넉넉히 잡았더라도 전력대란은 피할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지경부와 한전은 30도 안팎의 더위가 지속되는 9월 초순까지 전력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공급 능력을 최대한 확보해 예비전력을 400만㎾ 이상으로 유지할 계획이었지만 돌발 상황에는 속수무책이었다. 심지어 한전은 전력 상황이 악화일로로 치닫는데도 미리 알리지 못하는 등 제대로 대응을 하지 못했다.

김승훈기자 hunnam@seoul.co.kr

2011-09-16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