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장지대(DMZ) 고엽제 살포에 민간인이 동원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민간인 통제선 지역인 강원 철원군 생창리에 사는 70대 권모씨는 최근 녹색연합과의 인터뷰에서 “1960년대 말부터 70년대 초까지 마을 주민들이 DMZ 내 고엽제 살포 작업에 동원됐다.”고 말했다. 녹색연합은 25일 권씨의 진술과 함께 권씨가 보관 중이던 고엽제를 사진과 함께 공개했다. 권씨는 “71년 육군 3사단이 있던 철원군 DMZ에 북한군이 넘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야 확보를 위해 고엽제를 살포하는 작업을 했으며, 목책 주변으로 풀이 자라날 때마다 수시로 작업을 지원했다.”고 말했다. 또 “지역 군부대의 요청으로 나와 다른 주민 한 명이 고엽제 살포에 동원됐고 현장에서 미군이 고엽제 이동과 살포를 감시했다.”고 밝혔다. 권씨에 따르면 고엽제는 드럼통이 아닌 포대에 담겨 있었고, 취급 주의 표시와 해골·위험 등의 표시만 있었다.
권씨는 또 “당시 작업은 보호 장비도 없이 맨손으로 진행됐으며 작업 참가자들은 단순한 제초제라는 말만 들었다. 주민들 중 2명이 건강상 피해를 봤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민간인 통제선 지역인 강원 철원군 생창리에 사는 70대 권모씨는 최근 녹색연합과의 인터뷰에서 “1960년대 말부터 70년대 초까지 마을 주민들이 DMZ 내 고엽제 살포 작업에 동원됐다.”고 말했다. 녹색연합은 25일 권씨의 진술과 함께 권씨가 보관 중이던 고엽제를 사진과 함께 공개했다. 권씨는 “71년 육군 3사단이 있던 철원군 DMZ에 북한군이 넘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야 확보를 위해 고엽제를 살포하는 작업을 했으며, 목책 주변으로 풀이 자라날 때마다 수시로 작업을 지원했다.”고 말했다. 또 “지역 군부대의 요청으로 나와 다른 주민 한 명이 고엽제 살포에 동원됐고 현장에서 미군이 고엽제 이동과 살포를 감시했다.”고 밝혔다. 권씨에 따르면 고엽제는 드럼통이 아닌 포대에 담겨 있었고, 취급 주의 표시와 해골·위험 등의 표시만 있었다.
권씨는 또 “당시 작업은 보호 장비도 없이 맨손으로 진행됐으며 작업 참가자들은 단순한 제초제라는 말만 들었다. 주민들 중 2명이 건강상 피해를 봤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1-05-26 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