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말 ’현역 1급’으로 육군에 입대했던 노모(23·연세대 휴학) 훈련병이 고열상태에서 야간행군 훈련에 투입된 뒤 귀대했다가 급성 호흡곤란으로 숨졌다. 시신 부검 결과 이 훈련병은 뇌수막염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12일 육군 등에 따르면 논산 육군훈련소 30연대 소속 노 훈련병은 지난 달 22일 오후 7시부터 다음날 오전 2시10분까지 20㎞ 완전군장 행군을 마치고 부대로 복귀했다.
그는 복귀 후 37.9도의 고열 증세를 보여 오전 3시40분쯤 분대장(일병)을 따라 연대 의무실로 가 진료를 받은 뒤 내무실로 돌아와 잠을 잤다. 그러나 상태가 더 나빠지고 열이 내리지 않자 훈련소 측은 낮 12시 20분쯤 그를 육군훈련소 지구병원으로 후송했다.
지구병원 측은 외부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오후 3시30분쯤 건양대병원으로 옮겼으나 노 훈련병은 다음 날인 24일 오전 7시쯤 숨을 거뒀다. 추정 사인은 패혈증에 따른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이었다.
노 훈련병의 아버지(52)는 “23일 새벽 고열로 의무실에 갔을 때 빨리 후송했다면 사망에 이르지는 않았을 것”이라면서 “훈련소의 초기 조치가 미흡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연대 군의관은 야간행군 복귀 후 환자 진료를 마치고 퇴근한 뒤였으며 일병 계급의 의무병이 당직 군의관에게 보고하지 않고 해열진통제만 처방한 다음 노 훈련병을 복귀시켰다.
훈련소 측은 “해당 군의관이 야간행군에 동행했으며 오전 3시까지 환자를 진료했으나 당시 노 훈련병은 진료를 받지 않았다. 의무실에서도 노 훈련병의 체온이 그다지 높지 않아 해열제만 처방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시신을 부검한 결과 노 훈련병은 앓고 있던 뇌수막염이 원인이 돼 패혈증과 급성 호흡곤란 증세를 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훈련소 측은 “몸에 이상이 있는 훈련병은 행군에서 제외하고 대신 토요일에 보충훈련을 받도록 했으나 노 훈련병은 행군에 참가하겠다고 했다. 부대에서 행군을 강요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육군은 노 훈련병의 사망 사고와 관련, 육군훈련소 감찰부에서 당직 간부들을 대상으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육군 관계자는 “훈련소가 본인이 아프더라도 이를 표현할 수 있는 분위기였는지는 조사해 봐야 할 것”이라면서도 “숨진 훈련병이 몸이 안 좋다는 의사 표시를 뚜렷하게 한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12일 육군 등에 따르면 논산 육군훈련소 30연대 소속 노 훈련병은 지난 달 22일 오후 7시부터 다음날 오전 2시10분까지 20㎞ 완전군장 행군을 마치고 부대로 복귀했다.
그는 복귀 후 37.9도의 고열 증세를 보여 오전 3시40분쯤 분대장(일병)을 따라 연대 의무실로 가 진료를 받은 뒤 내무실로 돌아와 잠을 잤다. 그러나 상태가 더 나빠지고 열이 내리지 않자 훈련소 측은 낮 12시 20분쯤 그를 육군훈련소 지구병원으로 후송했다.
지구병원 측은 외부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오후 3시30분쯤 건양대병원으로 옮겼으나 노 훈련병은 다음 날인 24일 오전 7시쯤 숨을 거뒀다. 추정 사인은 패혈증에 따른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이었다.
노 훈련병의 아버지(52)는 “23일 새벽 고열로 의무실에 갔을 때 빨리 후송했다면 사망에 이르지는 않았을 것”이라면서 “훈련소의 초기 조치가 미흡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연대 군의관은 야간행군 복귀 후 환자 진료를 마치고 퇴근한 뒤였으며 일병 계급의 의무병이 당직 군의관에게 보고하지 않고 해열진통제만 처방한 다음 노 훈련병을 복귀시켰다.
훈련소 측은 “해당 군의관이 야간행군에 동행했으며 오전 3시까지 환자를 진료했으나 당시 노 훈련병은 진료를 받지 않았다. 의무실에서도 노 훈련병의 체온이 그다지 높지 않아 해열제만 처방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시신을 부검한 결과 노 훈련병은 앓고 있던 뇌수막염이 원인이 돼 패혈증과 급성 호흡곤란 증세를 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훈련소 측은 “몸에 이상이 있는 훈련병은 행군에서 제외하고 대신 토요일에 보충훈련을 받도록 했으나 노 훈련병은 행군에 참가하겠다고 했다. 부대에서 행군을 강요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육군은 노 훈련병의 사망 사고와 관련, 육군훈련소 감찰부에서 당직 간부들을 대상으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육군 관계자는 “훈련소가 본인이 아프더라도 이를 표현할 수 있는 분위기였는지는 조사해 봐야 할 것”이라면서도 “숨진 훈련병이 몸이 안 좋다는 의사 표시를 뚜렷하게 한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