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대문 상인들의 오아시스였는데…”

“남대문 상인들의 오아시스였는데…”

입력 2011-04-30 00:00
업데이트 2011-04-30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0년 전통 서울 도심 목욕탕 ‘북창탕’ 경영난에 폐업

29일 오전 5시 서울 중구 북창동. 50년 전통의 대중목욕탕 ‘북창탕’의 유리문이 열렸다. 빨간색 글씨로 ‘목욕합니다’라고 적힌 입간판이 영업 시작을 알렸다. 1층 입구 3.3㎡ 남짓한 매표소에서 주인 이창진(71)씨가 작은 창으로 빼꼼히 얼굴을 내밀고 손님들과 인사를 나눴다.

“우리는 이제 어디서 목욕하라는 거야. 문 닫지마~.” 폐업 소식을 들은 손님들이 투정을 부렸다. 북창탕은 30일부터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최근 유류비 부담이 늘고, 24시간 찜질방 등 목욕 문화도 바뀌면서 경영난을 겪어 왔다. 북창동에서 닭 장사를 하는 임호혁(46)씨는 “지난 20년 동안 새벽에 나와 오전 장사를 마치면 이곳에 들러 목욕하고 휴식 취하는 게 일상이었다.”면서 “반세기 동안 북창동·남대문 상인들의 오아시스가 없어지는 셈”이라며 아쉬워했다. 임씨처럼 남대문시장 등에서 새벽을 여는 이들이 북창탕의 손님이었다. 남대문 상인들은 물건을 떼어다 놓고 북창탕에 들러 몸을 씻으며 하루를 시작했다. 남대문시장에서 지물포를 운영하는 천광수(70)씨는 47년 단골. 천씨는 “선친 때부터 매일 아침 목욕을 다니던 곳이 바로 북창탕”이라며 안타까워했다.

주인 이씨도 아쉽기는 마찬가지다. 1929년 세워진 4층짜리 건물에 61년 목욕탕이 들어선 뒤 세 번째 주인이 된 이씨는 “이곳 전통과 단골손님들을 생각하면 계속하고 싶지만, 치솟은 유류비 등 물가 때문에 더이상 운영이 불가능하다.”며 고개를 떨궜다. 도심속 작은 목욕탕인 북창탕의 폐업은 세태 변화의 단면을 보여 준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1-04-30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