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 앞세운 지상파 ‘막말 방송’

공익 앞세운 지상파 ‘막말 방송’

입력 2011-04-28 00:00
업데이트 2011-04-28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족 간 복수와 폭행, 살인사주 <2010.8.11. SBS 드라마 ‘세자매’> : 시청자에 대한 사과

##상대방의 키나 외모 등 신체적 차이를 조롱하거나 비하하는 내용<2010.8.7. MBC ‘무한도전’> : 주의

지난해 지상파 방송에 대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제재 건수가 크게 늘어났다. ‘막장 드라마’와 ‘막말 방송’ 등 방송사들의 지나친 시청률 경쟁이 지상파 방송 콘텐츠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케이블TV 등 유료방송과 TV홈쇼핑 제재 건수는 대폭 줄었다.

27일 방통심의위가 발표한 ‘제1기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지상파 방송에 대한 제재(권고 포함) 건수는 137건으로 2009년의 109건보다 증가했다. 방송사별로는 KBS와 MBC가 46건씩이었으며 SBS가 33건이었다. 1기 방통심의위가 활동한 3년간의 제재 건수를 모두 합칠 경우 MBC가 128건으로 가장 많았고, KBS 114건, SBS 100건 순이었다.

제재 사유로는 시청 등급준수 여부와 관련된 ‘수용 수준’이 43건으로 가장 많았다. 방송언어가 32건이었고 품위 유지(22건), 협찬고지 규칙 위반(21건), 윤리성(17) 등이 뒤를 이었다. 방통심의위 관계자는 “지상파 방송에 대한 제재 건수가 증가한 것은 이른바 ‘막말’ 방송과 저품격 드라마에 대해 중점적으로 심의를 실시했기 때문”이라면서 “심의위원들 사이에서는 방송의 공익성과 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유료방송에 대한 제재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137건,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43건, 위성방송·위성DMB·IPTV 11건 등 19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9년 328건보다 41.8% 줄어든 수치다. 제재 사유별로는 ‘간접 광고’가 104건으로 가장 많았고, ‘어린이·청소년 보호’ 44건, ‘폭력 묘사’ 20건 등이었다.

방통심의위는 제재 건수가 줄어든 데 대해 “방송시간이 전반적으로 짧은 유료채널의 특성을 고려해 전후 맥락을 파악하고자 여러 회차의 프로그램을 묶어 심의했기 때문”이라면서 “실질적으로 유료방송의 건전성이 개선됐다고 볼 수는 없다.”고 밝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1-04-28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