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안드로이드폰도 ‘몰래 수집’ 의혹

구글 안드로이드폰도 ‘몰래 수집’ 의혹

입력 2011-04-23 00:00
업데이트 2011-04-23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수사기관, 아이폰 사용자 위치 추적 이미 활용”

애플 아이폰의 ‘사용자 위치 추적’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아이폰뿐 아니라 구글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도 사용자 위치 정보를 몰래 수집하는 기능이 있으며 이 정보를 구글에 전송해 왔다는 의혹까지 나왔다. 또 미국 수사기관들은 이미 아이폰의 ‘비밀 파일’ 정보를 범죄 수사에 활용해 왔다는 주장도 나왔다. 첨단 정보기술(IT)이 촉매제가 돼 ‘빅브러더 시대’에 한발 더 다가선 것 아니냐는 우려가 쏟아진다.

미국 보안 전문가인 사미 캄카르가 “HTC 안드로이드폰이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초 단위로 모아 이 정보를 한 시간에 몇 차례씩 구글에 전송한 것으로 연구 결과 확인됐다.”고 말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 보도했다. 이 연구자는 구글이 모은 정보에는 사용자 이름과 위치, 단말기 고유 식별자 등이 포함됐다고 말했다.

애플 역시 지난해 7월 에드워드 마키(민주당) 등 미국 하원의원들에게 “아이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때때로 모아 왔다.”고 실토했다고 WSJ가 전했다. 마키 의원은 21일(현지시간) 스티브 잡스 애플 최고경영자(CEO)에게 편지를 보내 애플이 추적 기능을 고의로 개발했는 지와 활용 용도 등에 대해 물었고 이에 대한 답변을 다음 달 12일까지 제출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웨덴의 컴퓨터프로그래머인 매그너스 에릭슨도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쓰는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이동 경로 등의 정보를 담은 파일이 발견됐다.”고 주장했음을 영국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다. 이 파일은 아이폰에 몰래 설치된 것으로 알려진 ‘위치 추적 파일’과 비슷하다. 하지만 파일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누구나 손쉽게 뽑아볼 수 있는 아이폰의 비밀 파일과 달리 컴퓨터 프로그램상의 일부 기술을 알아야 내용을 추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수사기관이 이미 수개월 전부터 아이폰에 수집된 사용자 이동 경로 정보를 범죄 수사에 활용해 왔고 이 증거를 토대로 유죄 판결을 이끌기도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로체스터 공대의 연구원인 알렉스 레빈슨은 미 IT 전문지인 ‘PC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아이폰 4가 출시된 지난해 여름 이미 위치 추적 파일의 존재가 확인됐고 미국과 국제 사법기관들이 이 정보로 수사를 벌여 왔다.”고 말했다.

한편, 애플 코리아는 아이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몰래 수집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국내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지자 “가입자 위치 정보 수집 프로그램은 사생활 침해와 무관하다.”고 밝혔다. 애플 측은 “아이폰을 들여올 당시 위치 정보 보호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를 받은 사항”이라면서 “수집된 정보가 애플의 저장 장치로 전송되지만 약관 및 가입자 동의에 따라 모두 익명으로 처리돼 가입자 개인의 사적 정보는 수집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와 관련해 “가입자가 위치 정보 수집 프로그램에 동의했기 때문에 아이폰의 위치 정보 수집 자체는 위법이 아니지만 만약 전송된 정보가 개인별로 식별 가능하다면 규제 대상이 된다.”고 설명했다. 방통위는 이에 대한 조사를 위해 애플 코리아에 질의서를 전달했고 현재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류지영·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4-23 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