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사이버테러 역량 최정예… 배후설 근거 있다”

“北 사이버테러 역량 최정예… 배후설 근거 있다”

입력 2011-04-23 00:00
업데이트 2011-04-23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서 해커 키웠던 김흥광씨

전 북한 공산대학 컴퓨터강좌장(학과장) 출신으로 탈북주민 사이에서 ‘컴퓨터 귀재’로 통하는 김흥광(51) NK지식인연대 대표는 “남한 사람들은 북한의 사이버테러 능력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결코 만만치 않다.”고 경고했다. 제자들을 ‘정보전사’(해커)로 키웠던 전직 북한 교수의 충고다.

이미지 확대
김흥광 NK지식인연대 대표
김흥광 NK지식인연대 대표


북한의 해킹 배후설이 제기될 때마다 한국에선 우파의 음모라는 얘기가 나오는데.

-북한이 워낙 폐쇄된 사회이다 보니 근거가 있다, 없다는 논박이 일어날 수는 있다고 본다. 하지만 나는 내 삶의 경험을 근거로 말하는 것이다. 함흥 컴퓨터기술대학에서 9년 동안 컴퓨터를 가르쳤고 1994년부터 탈북 직전인 2003년 8월까지 함흥 공산대학 컴퓨터강좌장을 지냈다. 그렇게 교육한 내 제자들이 정찰국 121소에서 활동했다. 군사위원회가 요구한 연구과제들도 직접 만들었다.

북한의 사이버테러 역량은 어느 정도인가.

-최정예다. 미국 보안전문가들도 북한 미림대학에서 한해 100명씩 양성하는 정보 전사들의 능력을 인정한 바 있지 않은가.

북한 정보전사들의 강점은.

-북한은 사이버테러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방법들을 1990년대 초반부터 고민했다. 사이버테러는 우주과학처럼 최첨단 기술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소수 엘리트를 뽑아 강제로 특수교육을 시킬 수 있는 북한의 비민주성과 폐쇄성이 어찌 보면 가장 강력한 무기일 수 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1-04-23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