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1호기 고장 국산부품 부실 탓”

“고리1호기 고장 국산부품 부실 탓”

입력 2011-04-15 00:00
업데이트 2011-04-15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12일 발생한 고리1호기 원전 정지는 전원 차단기의 내부 손상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고장 난 차단기는 2007년 교체된 현대중공업 제품으로, 불과 4년 만에 고장을 일으켰다는 설명이다. 차단기의 내구 연한은 통상 25~30년이다.

박현택 한국수력원자력 발전본부장은 14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고리1호기는 지난 12일 전원 차단기 내부 연결 단자의 과열로 손상돼 정지됐다.”면서 “노후 원전이라 발생한 고장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박 본부장은 또 “고장 난 차단기는 2007년 8월 고리1호기 ‘계획예방’ 정비 때 교체된 부품으로 외부 문제가 아닌 차단기 자체 문제로 보고 있다.”며 “정상적인 차단기라면 그렇게 안 된다.”고 말했다. 한수원 측은 이번 사고가 일시적으로 차단기에 많은 전류가 흐르면서 불에 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커넥터가 느슨해졌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박 본부장에 따르면 고리1호기의 27개 차단기 중 4개는 현재 현대중공업 제품으로 교체된 상태다. 이전 부품은 GE 것이었다.

이런 가운데 합동조사단은 정확한 사고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한수원 외에 현대중공업과 한국전력연구소 등으로 구성된 조사단이 고장 난 차단기를 완전히 분리해 다른 곳으로 옮겨 정밀검사 중이다. 부품 결함으로 밝혀지면 책임은 상당 부분 현대중공업 쪽으로 넘어가게 된다. 다만 지난해 8월 3년의 보증기간이 끝나 법적 책임을 묻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이번 사고와 관련, 고리1호기의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사고가 난 차단기가 있던 자리에선 1992년 5월에도 같은 사고가 발생했다. 같은 자리에서 두 차례 비슷한 고장이 난 것을 우연으로 보기에는 석연찮다는 지적이 있다.

한수원 측은 “다른 차단기의 구조도 비슷해 고장 난 부위에 특별한 문제가 있다고 보기 어렵고, 정확한 고장 유형도 다르다.”고 해명했다.

한수원 측은 차단기를 다시 설치하면 이르면 15일 밤 재가동할 수 있다고 밝혔으나, 사고 원인을 정확히 가려내기 전까지 섣불리 재가동할 수 없다는 지역 여론도 만만찮다. 박 본부장은 “고리1호기 정지에 따라 하루 발전단가로 5억원가량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재가동 여부는 교육과학기술부가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또 “(조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시민 단체 등을 조사단에 포함시킬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1978년 4월 가동한 고리1호기는 2008년 예정된 수명을 다했으나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판정을 받고 그해 1월부터 ‘계속운전’에 들어갔다. 상업운전 첫해 17건의 고장이 발생하는 등 국내 20년 이상 가동 원전 9기에서 발생한 486건의 사고 중 128건(26.3%)이 고리1호기에서 발생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4-15 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