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 감기 유발·악화” 서울 아산병원 첫 규명

“황사, 감기 유발·악화” 서울 아산병원 첫 규명

입력 2011-04-13 00:00
업데이트 2011-04-13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사가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거나 감기를 악화시킨다는 사실이 국내 의학자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됐다. 지금까지 추측으로만 알려져 왔던 황사의 위해성을 실질적으로 규명한 첫 연구 성과여서 주목된다.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용주 교수팀은 흔한 감기바이러스인 리노바이러스와 황사의 상관성을 연구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12일 밝혔다. 감염되지 않은 세포의 염증물질 복제율을 100%로 봤을 때 황사에만 노출된 세포는 140~175%, 감기바이러스에만 노출된 세포는 123~164%의 수치를 보였다. 이에 비해 감기바이러스 감염 후 황사에 노출시킨 세포는 151~337%로 수치가 급등했다. 그만큼 많은 염증 매개물질을 복제해 낸 것이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04-13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