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의 슬픈 봄] “누가 볼까봐…” 텅빈 상담센터

[카이스트의 슬픈 봄] “누가 볼까봐…” 텅빈 상담센터

입력 2011-04-09 00:00
업데이트 2011-04-09 0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역할 못하는 카이스트 상담센터

“모든 사람이 저만 쳐다보는 것 같아서 무서워요.” “그렇지 않아. 위축되지 말고 자신감을 갖는 게 중요해.” 지난 5일 오후 4시쯤 카이스트 학생회관 앞 태을관 3층. ‘카이스트 상담센터’ 문틈으로 한 학생과 상담사의 대화가 새어 나왔다. 지친 목소리의 남학생은 압박감을 호소했고, 상담사는 자신감을 강조했다. 틀에 박힌 상담이었다. 3층 복도에는 이들의 상담 소리만 희미하게 들릴 뿐 오가는 사람이 없다.

이미지 확대
카이스트는 올 들어 잇따르는 학생 자살을 막기 위한 대안으로 상담센터를 마련했으나 학생들이 이용을 기피해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카이스트의 상담센터 모습. 대전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카이스트는 올 들어 잇따르는 학생 자살을 막기 위한 대안으로 상담센터를 마련했으나 학생들이 이용을 기피해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카이스트의 상담센터 모습.
대전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실제로 학생들의 상담센터 이용은 저조했다. 한 상담사는 “하루 평균 2~4명 상담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카이스트 상담센터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주 5일 운영된다. 상담시간은 1회 50분이고 상담사는 총 5명이다. 5월 이후 전임 상담사를 2명 더 둘 예정이다.

하지만 상담센터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신통치 않다. 부정적이라는 게 오히려 정확하다. 수리과학과 4학년 이병찬(23)씨는 “하루에 2~4명을 받는다는 것을 보면 상담하러 오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씨는 “학교에서는 상담사를 늘리면 다 해결될 것처럼 말하는데 상담사를 늘리는 게 중요한 게 아니다.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 상담을 해서 학생들의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을지가 더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전자과 2학년 김모(20)씨도 “상담센터에 가는 것 자체가 경쟁이 심한 카이스트 내에서는 남들과 좀 다르다고 보여질 수도 있을 텐데 누가 당당하게 상담을 받겠나.”라고 말했다.

학업을 따라가기 어려워 지난주 도망치듯 상담센터를 찾았던 신입생 김모(19·여)씨는 “찾아갈까 말까 고민하다가 어렵게 상담센터를 찾았는데 상담사가 내 이야기만 들을 뿐, 뚜렷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했다.”면서 “한번 더 찾아오라고 했지만 가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 만이라면 선배나 친구도 있는데 굳이 센터에 찾아갈 필요가 있겠느냐.”라는 게 그녀의 설명이다. 기계과 4학년 유모(24)씨는 “경쟁적인 학교 분위기에 적응을 못해 고민하다가 교내 상담센터가 아닌 외부 상담센터를 찾았다.”고 말했다.

대전 김진아기자 jin@seoul.co.kr
2011-04-09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