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짤’ 당하면 패배자 낙인… 카이스트 무리한 경쟁의 비극

‘장짤’ 당하면 패배자 낙인… 카이스트 무리한 경쟁의 비극

입력 2011-04-08 00:00
업데이트 2011-04-08 0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4명 잃고나서야 “차등 등록금제 폐지”

7일 카이스트 학생이 네 번째로 목숨을 끊은 것은 앞서 자살한 3명의 학생들과 비슷한 고민에서 야기된 사건으로 보인다. 서남표 총장 부임 이후 쏟아낸 ‘차등 등록금제’ 등 갖가지 개혁정책이 학생들 사이에 무리한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극도의 스트레스를 낳은 것이다. 학교 측은 학부생들 사이에서 ’장짤(장학금 잘림)’로 통하는 ‘징벌적 등록금’을 전면 폐지하는 개선안을 내놓았다.

이미지 확대
“사과드립니다”
“사과드립니다” 올 들어 네 번째 학생이 목숨을 끊은 7일 오후 서남표 카이스트 총장이 긴급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기에 앞서 머리 숙여 사과하고 있다.
대전 연합뉴스
●무리한 경쟁 제도가 스트레스 불러

이미지 확대
박모(20·수리과학과 2년)씨 자살 사건과 관련해 김동수 학과장은 “성적이 나쁜 학생은 아니었다.”면서도 “상담 과정에서 박씨가 ‘대학에 와서 공부하기가 힘들다’고 말했고, 본인은 좀 더 잘하고 싶었는데 원하는 만큼 못한다는 심리적인 부담이 있었던 것 같다.”고 밝혔다.

박씨는 우울증 진단서를 제출한 뒤 지난 6일 휴학했고, 가족들도 병세를 인정했다. 여러 정황으로 미뤄 박씨의 우울증, 의욕상실 등 못지않게 학교제도도 큰 부담으로 작용한 것이 확실하다.

서 총장은 2006년 7월 부임 후 차등 등록금제, 전 과목영어수업 등 이전에 없던 개혁정책을 쏟아냈다. 초기에는 참신한 정책으로 적잖은 호평을 받았지만 학생들의 입장은 달랐다.

지난달 29일 재학생이 세 번째로 자살한 뒤 이런 정책에 대한 부정적 반응이 표출되기 시작했고, 학교 교육정책에 대한 학생들의 반발도 확산되었다. 이 학교 허현호(21·산업디자인학과 3년)씨는 학생식당 앞 게시판에 ‘카이스트의 진정한 주인은 바로 우리 4000 학우다’라는 대자보를 붙였다. 허씨는 “학점 경쟁에서 밀려나면 패배자 소리를 들어야 하고 힘든 일이 있어도 서로 고민을 나눌 여유조차 없다.”면서 “학교는 대외적으로 개성 있고 창의적인 인재육성을 표방하면서 우리를 컨베이어벨트 위에 줄 세워 놓고 네모난 틀에 억지로 몸을 끼워 맞추도록 강요한다.”고 비판했다.

●“우리는 행복하지 않다” 대자보

전산학과 3년 한기종(21)씨도 창의관에 ‘꿈을 박탈당한 카이스트’라는 대자보를 붙이고 “자기만 잘난 리더가 아닌 창의적이고 사회의 고통에 헌신하는 리더가 필요하다.”며 학교 교육정책의 변화를 촉구했다.

한 학생은 학내 커뮤니티에서 “‘때로는 질 수 있다’는 생각을 각자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고 했는데 ‘진 학생이 훌훌 털고 일어날 수 있도록’ 학교가 무엇을 할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며 “연간 최대 1500만원이 넘는 수업료 부담을 총장은 인식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우희종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서 총장이 학교 홈페이지에 ‘학생들이 압박감을 이겨내야 한다.’는 요지의 글을 올린 것에 대해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학점에 따라 등록금을 차등화해서 학생들에게 부담을 주면 공부 열심히 할 것이라는 단순하고도 유치한 생각을 바닥에 깔고 있다.”고 통렬하게 비판했다. 김기석 교육학과 교수도 “세계 어느 대학이 학생을 죽음으로 몰아붙이며 최고 자리에 갈 수 있나.”라고 지적했다.

●“年최대 1500만 넘는 수업료 부담”

학생들의 분노가 폭발하고 네 번째로 자살한 학생이 나오고서야 학교 측은 뒤늦은 대책을 서둘러 발표했다.

서 총장은 7일 오후 6시 30분 학교 본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네 번째 학생 자살 소식을 전한 뒤 “다음 학기부터 성적 부진 학생들에게 차등 부과하던 수업료를 8학기(4년) 동안은 면제해 줄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8학기 이내에 학부과정을 마치지 못하는 연차 초과자들은 현행대로 한 학기당 150여만원의 기성회비와 최고 600여만원의 수업료를 내야 한다.

아울러 신입생들이 수강해야 하는 5개 기초필수 과목을 줄이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조정안은 학내 구성원 동의, 교육과학기술부와의 협의를 거쳐 확정된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1-04-08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