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오염 대처 어떻게

수돗물 오염 대처 어떻게

입력 2011-04-02 00:00
업데이트 2011-04-02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슘·요오드 기존 정수압으로 최대 56% 제거

일본 원전 사고로 ‘방사능 공포증’이 전국을 휩쓴 가운데 국내 수돗물의 안전성에도 국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도 측정 자료를 숨김 없이 발표해 불필요한 오해를 사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1일 수자원공사와 과학기술한림원 등에 따르면 현재까지 수돗물은 방사성물질인 요오드 131과 세슘·스트론튬 등에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대기 중으로 유입된 낙진, 눈, 빗물을 통해 토양과 댐·저수지, 해양, 지하수로 유입된 물이 추후 오염을 유발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원자력안전기술원은 최근 전국 22곳의 수돗물에 대한 방사성물질 오염 분석을 시작했다. 결과는 다음 주쯤 나온다. 국내에서 감마핵종 측정 등 관련 검사가 가능한 곳은 4~5곳으로, 장비도 10여대 수준이다. 백경희 수자원공사 수질분석연구센터 실장은 “수돗물의 오염을 두려워할 단계는 아니다.”면서 “먹는물 오염과 관련된 위험한 방사성 핵종으로는 세슘과 스트론튬을 꼽을 수 있다.”고 전했다.

수자원공사는 최근 수처리 제거 여부를 검토한 뒤 세슘과 요오드는 기존 공정인 응집·침전, 급속여과에서 17~56%가 제거된다는 연구결과를 접했다. 또 기존 활성탄을 산처리한 산처리활성탄과 나트륨치환 산활성탄, 흡착제 등을 활용해 방사성물질을 어느 정도 흡착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이 밖에 스트론튬은 공기주입, 이온교환, 침전 등을 통해 제거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4-02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