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새 컨트롤타워 발탁된 ‘7인회’ 김기춘

靑 새 컨트롤타워 발탁된 ‘7인회’ 김기춘

입력 2013-08-05 00:00
업데이트 2013-08-05 1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선서 朴대통령 도운 정치원로…남다른 인연 발탁배경’초원 복국집’·유신초안 작성ㆍ’盧탄핵소추’ 이력 부담정수장학회 모임 ‘상청회’ 회장 역임’父女 대통령’ 보좌

박근혜 대통령이 5일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을 교체하고 새로 임명한 김기춘(74) 전 법무장관은 박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다.

박 대통령을 오랫동안 도와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도가 깊고 인연도 남다르다는 점이 발탁배경으로 꼽힌다.

집권 6개월에 즈음해 하반기 국정운영에 고삐를 죄려는 박 대통령의 구상을 충실히 수행할 인물이라는 게 청와대나 여권의 설명이다.

경남 거제 출신인 김 신임 비서실장은 1939년생으로 경남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를 졸업했으며, 드물게 검찰총장과 법무부 장관을 모두 지냈다.

15,16,17대 신한국당과 한나라당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이회창 전 대통령후보의 특보단장, 한나라당 여의도연구소장, 국회 법사위원장, 새누리당 상임고문 등의 이력을 쌓았다.

◇박 대통령과의 인연 = 선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과 모친인 육영수 여사의 이름을 따서 만든 ‘정수장학회’에서 장학금을 받은 졸업생 모임인 ‘상청회’의 회장을 지냈다.

검사 시절인 1974년에는 육영수 여사 살해범인 문세광 사건을 조사하기도 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 말년에는 청와대 비서관을 지냈다. 이번에 비서실장을 맡게 됨에 따라 대를 이은 ‘부녀 대통령’을 보좌하게 됐다.

사위인 안상훈 서울대 교수 역시 박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인수위에서 고용복지분과 인수위원으로 활동할 정도로 인연이 남다르다.

지난 6월에는 재단법인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회 초대 이사장을 맡았다.

김 신임 실장은 박 대통령이 한나라당 대표 등을 거치는 동안 국회에서 상임위원장 등으로 함께 활동하면서 정치철학에 대한 공감대를 넓혀왔다.

◇논란 낳는 이력 = 우선 유신헌법 초안 마련이 지적된다. 김 신임 실장은 검사 시절이던 지난 72년 비상계엄이 선포된 직후 유신헌법 초안을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초안에는 긴급조치권, 국회해산권 등 유신헌법의 핵심조항들이 구체적으로 작성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1992년 12월 대선을 앞두고 벌어진 부산 초원복국집 사건의 당사자라는 점은 오랫동안 ‘꼬리표’처럼 따라 붙어다니고 있다.

당시 12월11일 부산 초원복국집에서 당시 법무장관이던 김 신임 실장은 경찰청장과 안기부 지부장 등 부산지역 관계 기관장들과 모며 김영삼 당시 여당 후보의 선거대책회의를 열었는데 이것이 야당 정주영 후보측 선거운동원들에 도청돼 공개되면서 파문을 일으켰다. “우리가 남이가”는 이 때 유행했던 말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에 적극 참여했다는 점도 야당이 반발하는 부분이다.

김 신임 실장은 지난 2004년 국회 법사위원장 시절 노무현 당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 의결서를 헌법재판소에 제출함으로써 탄핵 소추위원으로 활동했다. 당시 탄핵소추는 기각됐다.

◇재조명 받는 7인회 = 김 신임 실장은 지난해 대선과정에서 박 대통령을 돕는 대표적 원로그룹인 ‘7인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강창희 국회의장(67)을 비롯해 김용환(81) · 김용갑(77)·최병렬(75) 전 의원, 안병훈(75) 전 조선일보 부사장, 현경대(74) 전 의원이 멤버로 알려졌다.

김 실장도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통령 경선에서 선거대책부위원장과 법률자문위원장으로 활동한 것은 물론 2012년 대선에서도 박 대통령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실장이 청와대에 입성함에 따라 ‘7인회’ 멤버 중 새 정부에서 중용된 인물은 현경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등 두 명으로 늘어났다.

▲경남 거제(74) ▲경남고·서울대 법대 ▲대구고검장 ▲법무연수원장 ▲검찰총장 ▲법무부장관 ▲한국야구위원회 총재 ▲15.16.17대 의원 ▲한나라당 여의도연구소장 ▲한국에너지재단 이사장 ▲새누리당 상임고문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