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무기 소형화 멀지않다”…한미 軍당국, 공동평가

“北 핵무기 소형화 멀지않다”…한미 軍당국, 공동평가

입력 2013-08-28 00:00
업데이트 2013-08-28 10: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관진-헤이글, 브루나이서 회담…전작권 재연기 협의 탄력

김관진 국방장관과 척 헤이글 미국 국방장관은 28일 브루나이에서 양국 국방장관회담을 하고 북한의 핵위협 평가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시기 재연기 문제 등을 협의한다.

양국 장관은 이날 반다르스리브가완의 엠파이어호텔에서 개막한 제2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 중 별도의 회담을 갖고 3차례 핵실험 이후 진행되고 있는 북한의 핵위협을 집중적으로 평가할 예정이다.

특히 김 장관은 회담에서 북한 핵은 우리 국민의 생존 문제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양국의 공동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는 뜻을 미측에 전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장관은 양국이 북한의 핵 사용을 가정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북한이 오판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당국자는 회담에 앞서 “북한이 탄도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핵무기를 소형화하는 것은 아주 멀다고 느끼지 않는다”면서 “미측도 우리와 같이 북한 핵을 실질적인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가령 전작권 전환시기와 북한 핵무장화 시기가 비슷해진다면 우리가 대처할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하다”면서 “이번 회담에서는 이런 문제들이 논의될 것 같다”고 전했다.

우리 정부는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 등 변화된 안보상황을 감안해 전작권 전환시기를 재평가 해야 한다는 의견을 미측에 제시한 상태로, 한미 양국이 북한의 핵무기 위협이 실질적이라고 평가함에 따라 전작권 전환 재연기 협의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양국 장관은 이날 회담에서 전작권 재연기 문제에 대해서도 원칙적으로 필요성을 공감하고 실무협의를 계속하기로 의견을 모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오는 10월 2일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45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 이전에 미국을 방문, 전작권 재연기 문제를 매듭지을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정부의 핵심 안보당국자들 사이에서 전작권 전환시기를 재연기하기로 합의하면 양국 국방장관은 SCM을 통해 이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장관은 이날 뉴질랜드,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브루나이 국방장관과도 잇따라 양자 회담을 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