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北도발說 ‘솔솔’

6월 北도발說 ‘솔솔’

입력 2011-04-30 00:00
업데이트 2011-04-30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이 대화 공세를 끝내고 6월 이후 미사일·핵실험 등으로 도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29일 한국을 떠난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북한으로부터 획기적인 입장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함에 따라 이 같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대화 결렬의 책임을 남한에 돌리는 한편 북·미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도발을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런 전망을 뒷받침하는 것은 북한이 그동안의 대화 공세를 통해 충분히 명분을 쌓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언제든지 어떤 주제에 대해서도 대화에 나설 준비가 돼 있으나, 남한이 ‘천안함·연평도’에 대한 사과를 고집하고 있어 남북대화가 어렵다는 메시지를 카터 전 대통령을 통해 다시 한번 강조했다. 더 이상 양보해 가면서까지 대화할 용의는 없다는 얘기다.

북한 내부에서는 이미 “대화공세는 올 6월까지. 그 이후 지켜보자.”라는 분위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김영수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북한으로서는 6개월이면 충분히 대화를 요구할 만큼 요구한 것이고 미국·중국에 보여줄 명분도 충분히 세운 것”이라면서 “내부에서 ‘6월까지만 기다려보자’는 얘기가 들린다.”고 말했다. 홍현익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은 “고개를 숙였다가는 망신만 당한다는 게 북한의 생각”이라면서 “대화가 안 되면 5~6월 미사일, 핵실험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이 잘못됐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도발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도 지적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1-04-30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