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강제징병 조선인 명부 증발 은폐

日, 강제징병 조선인 명부 증발 은폐

입력 2013-12-25 00:00
업데이트 2013-12-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족, 유해 추적과정서 확인

일본 정부가 태평양전쟁 말기 일본 군인·군속으로 강제 동원된 조선인 수만명분의 명부가 증발된 것을 은폐, 방치해 온 것으로 24일 드러났다.

이미지 확대
최동수씨 연합뉴스
최동수씨
연합뉴스
이러한 사실은 최동수(86·충남 태안)씨가 지난 6일 일본 시민단체 관계자, 한국·일본의 변호사들과 함께 일본 후생노동성을 방문, 1945년 5월 강제 징병된 형님 최동언씨 유해의 행방과 입대 사실 등을 따지는 과정에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가 1971년과 1993년 한국 정부에 전달한 조선인 군인·군속 명부(24만 3992명)와 사망자 명부(2만 1699명)는 물론 전체 동원 피해자·사망자 숫자가 전면 수정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후생노동성 사회원호국 관계자는 1945년 1월부터 일본이 패전한 8월 사이에 강제 징병된 조선인들의 명부가 없다는 것이 사실이냐는 시민단체 관계자 등의 질문에 “구 일본육군과 해군 관련 명부는 후생성에 전부 인계됐으나 전쟁 혼란 상황으로 인해 부대별 명부 등이 없는 경우가 있다”고 답변했다. 즉 태평양전쟁 말기에 군인·군속으로 강제 동원된 조선인들의 명부가 ‘증발된 상태’임을 사실상 시인한 것이다. 이와 관련, 최씨가 형님의 징병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명부, 군번, 근무 위치 등을 파악해 사망 일시와 장소를 알려줄 것을 요구한 데 대해 “후생성이 갖고 있는 명부로는 관련 사실이 확인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사라진 조선인 명부가 최소 수만명분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후생성 인양원호국이 1963년 펴낸 ‘속속(續續) 인양원호의 기록’은 패전 당시의 조선인 군인·군속 숫자를 36만 4186명으로 집계하고 있다. 집계대로라면 일본이 1993년 한국에 전달한 24만 3992명의 명부에서 약 12만명이 부족한 셈이지만 일본 정부는 이에 대해 납득할 만한 설명을 하지 않고 있다.

최씨의 후생성 방문에 동행한 최봉태 변호사는 “국가 징병령에 따라 조선인들을 강제로 끌고 간 후 입대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기록조차 남기지 않은 것은 일본 정부가 중대한 책임을 져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3-12-25 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